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1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1
 2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2
 3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3
 4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4
 5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5
 6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6
 7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7
 8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8
 9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9
 10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10
 11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11
 12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호 사정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발달력
5. 가족력
6. 정신상태 검사
7. 정신사회적 사정
8. 임상병리 결과
9. 임상심리 결과
10.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Ⅱ.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건강력
① 현병력
 의학적 진단명 : Bipolar affective disorder, current episode manic with psychotic symptom
 주호소(Chief complain) : wandering out, 남동생에게 욕을 함, 투약 불이행
 발병의 촉발시기 및 요인
00고등학교 졸업 후 00세(19xx년) 000 근무 중에 “사람들이 무섭고 나에게 욕하고 쳐다본다” 고 하여 SPR 진단받고 00병원 정신과 50일 간 입원치료 받음, 퇴원 이후 약물 중단하였지만 직장 생활 잘 유지하고 기능 회복되는 모습 보였다고 함, 그 후 직장생활 stress로 인해 19xx년부터 본원 외래 f/u 받다가 19xx년 delusion 악화되어 1차 입원하였음, 퇴원하면 약물 순응도 떨어져 증상 악화되어 재입원 반복하다 최근 문제행동 지속되어서 응급실 경유하여 9번째로 입원하셨음.
② 과거병력
 유병기간 : 80년 발병해 회복, 악화 반복  입원 횟수 : 9회
 자살력 : 무  타과 질환력 : 무
③  음주 : 무  흡연 : 무  기타 약물 복용 : Metformin (당뇨약)



-간호사정

• 활동요법을 권유했을 때 "나는 그런 거 잘 안 들어가. 이젠 나이도 있고 재미도 없어“
• "하루에 조금 걷긴 걷는데 그렇게 많이 움직이진 않아. 그래서 사람들하고 대화를 별로 안하는 것 같아"
• “나가면 이제 결혼을 하고 싶은데 병원에 입원했었고 이런 병을 가지고 있어서 하지 못할 것 같아”


• Bipolar affective disorder
• 현재까지 입원횟수 - 9번
• 00세(19xx년) 발병하여 치료하기 시작함
• 활동요법에 참여하지 않고 혼자 침상에 있거나 TV를 보고 있음
• 대화를 하는 다른 환자 분이 거의 없음


장기간 치료, 의욕 저하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참고문헌
제4판 정신건강간호학 / 이미형 외 / 현문사
간호과정 / 최순희 외 / 현문사
개정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김강미 외 / 현문사
하고 싶은 말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양극성 정동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입니다!

[간호진단]
1. 장기간 치료, 의욕 저하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2. 가족과의 경제적 갈등, 병식결여와 관련된 가족기능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