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

 1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1
 2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2
 3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3
 4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4
 5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5
 6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6
 7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4학년 사회문제 E형 전학과 공통]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박사 논란에 대한 심층적 고찰
  • [인간체세포배아복제] 과거 황우석 사태를 통해 본 인간체세포배아복제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관점 및 인간복제(생명복제)의 개인적 견해
  • [[생명과환경]2학년 전학과 공통과제][생명과환경(A+완성형)]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그리고 2005년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를 둘러싸고 일어난 사태에 대한 자기 생각을 서술하시오.
  • [인간복제, 배아복제] 인간복제,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줄기세포의 쟁점과 문제점을 통해 본 황우석 사태의 논란과 개인적 견해
  • [인간체세포배아복제] 인간배아복제,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유용성과 문제점 및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견
  • [생명과 환경]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05년 황우석 교수의 사태에 대한 나의 생각 서술
  • [생명과 환경] 인간 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황우석 교수 사태를 중심으로
  • [생명과 환경]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 교수 사태에 대한 개인적 고찰
  •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연구 계속 여부에 대한 견해][한국사회문제E형(완성형)]황우석박사가 줄기세포 연구를 계속하도록 해야 하는지, 다른 연구자가 연구를 하도록 해야 하는지에 대해 신중하
  • 시민사회와 민주정부 황우석의 줄기세포‘독’ 인가 약인가
  • 소개글
    [생명윤리] 배아 복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배아 복제란 무엇인가?
    배아복제란 수정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인간 배아를 복제, 질병 치료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생물체에서 체세포를 채취해 배양 처리한 후 이 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주입해 세포를 융합시키는 과정을 체세포의 핵이식 과정이라고 한다. 이처럼 체세포 핵이식 된 융합난자를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면 정상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결합된 것처럼 세포가 2,4,8,16개로 분할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수정한지 14일이 안된 배아는 척추, 내장 등 신체기관이 발생하지 않은 채 무한 세포분열을 거듭한다. 14일이 지나면 척추로 자라는 원시선(Primitive Streak)이 생기는 등 태아의 단계로 나간다.
    이에 따라 과학자들은 수정 14일까지의 배아를 아직 생명체가 아닌 것으로 간주, 이에 대한 의료적 사용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특정 장기로 분화되기 전 배아기의 세포를 가리켜 줄기세포(Stem Cell)라 하는데, 이 세포는 심장이나 신장, 간, 혈액, 신경 등 인간의 온갖 장기와 신체 조직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갖고 있어 만능세포로도 불린다. 배아세포를 복제한 뒤 인공적 통제를 통해 심장, 신장, 골수 등 필요한 줄기세포 부분을 집중 배양하여 이 부분만 적출, 장기이식 등 환자의 치료에 쓸 수 있다는 것.
    인간배아복제문제를 얘기할 때 논란이 되는 것은 “생명의 시작은 어디인가”이다. 과학계는 수정란이 만들어진 후 14일까지의 배아(embryo)는 원시선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인간체가 아닌 세포덩어리이고, 따라서 체세포를 이용해 배아를 만들고 여기에서 간세포를 추출하는 연구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종교계는 수정란이 만들어지는 순간 생명체가 탄생한 것이므로 원시선이 있는 없든 인간체로 봐야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배아에 손을 대는 것은 생명체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2. 현재 그에 대한 연구의 진행정도
    2001년 9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몇몇의 동물복제가 성공한 사례는 있었지만, 인간복제배아는 연구 단계에만 머물렀을 뿐 배아복제에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복제동물은, 1997년 영국 로슬린연구소가 다 자란 양의 체세포를 복제해 탄생시킨 ‘돌리’가 처음이며, 이후 영국·미국·일본·뉴질랜드에 이어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황우석교수팀이 국내 최초로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 젖소 영롱이를 탄생시키는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미 동물복제에 성공하였다. 2000년 10월에는 미국의 생명공학 회사인 어드밴스트셀테크놀로지(ACT)가 핵이 제거된 여성의 난자에 인간의 체세포에서 추출한 핵을 이식해 세계 최초로 배아 복제에 성공했다고 발표함으로써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회사는 정자와 난자 등 생식세포를 수정하지 않고 인간의 배아를 복제하였는데, 상세한 복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숙한 난자에 영양을 공급하는 난구(난자가 성숙해 가는 중간단계의 구조)세포로부터 핵을 떼어낸 뒤, 이 떼어낸 핵을 핵이 제거된 사람의 난자(기증된 난자)에 이식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배아를 복제하였다.
    이 기술을 응용해 배아 줄기세포 연구로 발전시키면 간·뼈·신경·심장 등 각종 장기를 생산할 수 있고, 당뇨병·암·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등 각종 난치병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복제배아를 여성의 자궁에 착상시키면 말 그대로 복제인간의 탄생도 가능해진다. 현재는 우리나라의 황우석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한 상태 이다.
    3. 세계 각국의 반응
    인간복제금지협정: 2001년 3월 1일, 유럽회의(EC) 41개 회원국 가운데 과반수인 24개국에서 비준함으로써 발효된 협정으로, 인간복제를 금지하는 최초의 국제협정이다. 유럽회의 인권·생물의학협약 추가의정서라고도 불린다.
    배아 분리, 세포핵 이식 및 기타 기술을 통한 인간복제를 금지하되, 오로지 연구 목적으로 세포나 조직을 복제하는 경우에만 엄격한 조건 아래 허용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살아 있는 사람이나 죽은 사람이나를 막론하고 그 사람과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을 만들려는 어떠한 개입도 금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