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

 1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
 2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2
 3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3
 4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4
 5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5
 6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6
 7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7
 8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8
 9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9
 10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0
 11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1
 12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2
 13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3
 14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4
 15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5
 16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6
 17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7
 18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8
 19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19
 20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공학계열
  • 2006.02.28
  • 65페이지 / hwp
  • 4,600원
  • 138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논문][산업공학] 상수도 유입량 최적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모형화 방법 비교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2 각 모형화 방법에 대한 고찰 3
21 Box-Jenkins(ARIMA) 모형 분석 3
22 회귀 모형 분석 9
23 신경망 모형 분석 15

3 각 모형화 방법의 도입 24
31 ARIMA 모형 24
32 다중회귀 모형 40
33 신경망 모형 44

4 결과 및 고찰 51
41 각 기법의 결과와 안정성 평가51
42 각 모델의 성능 비교 평가51

5 결론 54

참고문헌 56
본문내용
한국은 연강수량은 충분하나 지역적 시기적으로 집중되는 성향으로 인하여 UN이 지정한 물 부족국가중 하나이다 건설교통부의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 (1997~2011)』에 의하면 2001년에는 수자원 수요량이 336억 톤, 공급량이 343억 톤으로 예비물량이 7억 톤이었으나 2006년에는 수요량이 350억 톤, 공급량이 346억 톤으로 4억 톤이 부족하고, 2011년에는 수요량이 366억 톤, 공급량이 346억 톤으로 20억 톤이 부족하게 될 실정이며 대체적으로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약 20% 이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양적인 증가가 둔화되었으며, 일부 대도시에서는 중수도와 절수기기의 보급 등으로 인하여 물 수요량이 정체 혹은 감소의 추세를 보이는 곳도 나타나게 되었다 즉 시설의 양적인 팽창은 거의 마무리가 되어가는 단계로서, 이제는 상수도의 확장보다는 상수도 운영관리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1]
상수도 운영관리는 물 수요량의 정확한 예측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예측은 효율적인 상수도 운영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예측은 시간에 대한 정적인 방법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물 수요량이 고정된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외부영향에 의한 변동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예측은 시설물의 용량을 결정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외부영향에 따라 변하는 물 수요량의 변동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배수지의 수위조절 및 버퍼용량의 결정, 송수펌프의 운전 등과 같은 배수지의 운영관리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1 강권수, 허준행, “한강수계 주요 다목적댐 운영을 위한 일유입량 예측기법 비교 연구,” 한국 수자원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pp 583-586, 서울, 2003
2 강근석, 김충락, 회귀분석, 교우사, 서울, 1999
3 권지혜, 허준행, 맹승진, 신은우, “ARMAX모형을 이용한 금강수계 월별유출량 예측,” 한국 수자원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pp623-636, 서울, 2003
4 김충련, 기초통계분석을 위한 SAS 강좌, 데이터리서치, 서울, 1994
5 박유성, 허명회, 시계열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서울, 2001
6 이성철, 박양규, SAS 통계탐험대, 21세기사, 서울, 1999
7 이종협, 최기협, SAS/ETS 시계열분석, 자유아카데미, 서울,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