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

 1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1
 2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2
 3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3
 4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4
 5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5
 6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6
 7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7
 8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조사지소의 개황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인도페놀법 (질산량 구함)
2. 아스코르빈산환원법 (인산량 구함)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1. 온도와 DO
2. 오염도에 따른 Electrical condectance, TDS, Nitrogen의 관계
3. 플랑크톤과 여러 수질지시자들의 관계
4. 수질오탁지표종으로서의 플랑크톤
5. 종풍부도

Ⅳ. 결론

Ⅴ. 인용문헌

Ⅵ. 부록
본문내용
요약

본 연구는 수생생태계의 중요인자인 수질의 특성을 밝히고, 그에 따라 인간에 의한 수질오염의 개선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행해졌다.
수질조사는 관악산 도림천에서 행해졌으며, 상류, 중류, 하류, 복개천으로 지역을 나누어 측정했다. 유속, 유량, DO, BOD, 인산, 질산, 플랑크톤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는 주로 서로 영향관계에 있는 수질요소들의 비교와 그에 따른 결론도출을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온도와 DO의 관계, 전기전도도, TDS, 질산으로 알 수 있는 오염도, 플랑크톤과 여러 수질지시자들의 관계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플랑크톤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과 종풍부도에 대해 논의하였다.


I.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에 의해 발생한 오염물질들은 수생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수생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인자인 물에 관한 특성은 수생생태계의 특성을 결정한다.
수질의 좋고 나쁨은 대개 수질 지시자들이 어떠한 값을 갖느냐가 결정하는 것이다(전용원, 1997).
수질 지시자는, 물 속의 여러 성분들에 의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종합적 수질 지시자"와 각 하나의 성분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개별적 수질 지시자 "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종합적 수질 지시자로는 색, 냄새, 맛, 산도, 염기도, 경도, 탁도, 전기 전도도, 염도, 부유 물질량, 총 용존 고형 물질량(TDS), 총 고형 물질량, 화학적 산소 요구량,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그리고 세균 수 등이 있다.
개별적 수질 지시자는 수용액(물) 내에 존재하는 모든 무기 성분 및 유기 성분들 각각의 함량을 의미한다. 유기 성분인 개별적 수질 지시자는 크게, 산 추출 가능 유기물, 염기 추출 가능 유기물 , 농약 및 피씨비류, 그리고 기타 성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개별적 수질 지시자는 이 밖에도 용존 산소량 (DO)과 같은 가스의 함량도 있다(유재영, 1994).
본 연구에서는 한강의 제 2지류인 관악산 도림천의 수질을 조사하였다. 수질조사는 종합적 수질 지시자인 전기전도도, TDS, BOD와 개별적 수질 지시자인 DO, 인산, 질산, 그리고 물리적 성질인 유량과 유속에 대한 것으로 이루어졌다.
수질지시자들과 수질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수생생태계의 특성을 알고, 인간에 의한 오염에 대해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정확한 파악은 보다 나은 개선 방안을 고려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들 수질지시자가 조사지의 수질과 생물의 종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참고문헌
전용원, 1997. 지구자원과 환경, 서울대학교 출판부, p.70~74
유재영, 1994.「춘천지역 기반암 종류에 따른 지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지질학회지, p.307~324
김재근, 박정호, 최병진, 심재한, 권기진, 이보아 이양우, 주은정 2004. 생태조사방법론.
보문당, p.70-150
조순행, 2001. 물환경개론, 신광출판사, p.60~61
김승우, 1997. 특정수계 권역의 수질총량규제 방안 연구, 환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57
김철, 김수명, 김성우, 하상안, 손희정, 박진식, 문종익, 손영일, 2000. 수질오염의 생태 학, 신광문화사, p.161~165, 175~179
Plumley FG, SE Douglas, AB Switzer and GW Schmidt.
1989. Nitrogen-dependent biogenesis of chlorophyll protein complexes.
p.311-329. In photosynthesis (Briggs WS ed.). Alan R Liss. New York.
Brussaard CPD, AMM Noordeloos and R Riegman. 1997.
Autolysis kinetics of the marine diatom Dictylum brightwell II (Bacillariophyceae) under nitrogen and phosphorus limitation and starvation. J. Phyco. 33:980-987
Smith VH. 1990. Nitrogen, phosphorus, and nitrogen fixation in lacustrine and estuarine ecosystems. Limnol. Oceanogr. 35:1852-1859
정영호, 1972.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 남한강의 식물성플랑크톤에 대한 분류와 한강 중심수역의 수질오탁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