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백겸과 신경준

 1  한백겸과 신경준-1
 2  한백겸과 신경준-2
 3  한백겸과 신경준-3
 4  한백겸과 신경준-4
 5  한백겸과 신경준-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백겸과 신경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조선후기의 사회변화와 실학사상의 대두
2.본론
-한백겸과 신경준의 생애
-당시의 시대적 상황
-학문적 성향과 역사인식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 신경준)
3.결론
본문내용
임진왜란을 겪고 난 뒤, 조선 후기에 들어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여러 방면에서 변동이 일어나는데, 이 변동에 따른 여러 가지 체제적 모순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 나가려는 운동이 일부 선각적인 학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게 된다. 실학사상의 대두가 바로 그것이다. 16세기 전반까지 민족문화의 창달에 중요한 구실을 하였던 성리학적 사림문화는 나름대로 긍정적 의의가 켰음에도 불구하고 16세기 후반, 선조 즉위와 함께 사림이 집권한 이후로 차츰 타성에 젖어 현실에 안주하려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종래에 보여주었던 강력한 현실 비판적 정신을 상실하여 갔다. 당시 선각적인 유학자, 특히 남인계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개혁의 기치 아래 실학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17세기 중엽이후 청조의 학술사상(과학적 학문)이 전래되면서 성리학의 윤리 도덕적, 사변 철학적 경향에 대해 객관적인 현실 문제를 중시하게 되었으며, 또 확실한 전거나 증거에 의해 이론을 전개하고 그에 따라 결론을 도출하는 경험적이고 실증적이며 합리적인 연구방법이 고취되었다. 이와 같은 조선후기의 사회변화와 외래적 영향으로 실학이 대두했고 실학의 논의는 더 현실문제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것이 역사학에도 반영되기 시작하여 기존의 정통적인 도덕적 역사관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역사관의 변화를 다음 두 인물-한백겸, 신경준-을 통해 알아보자.
참고문헌
조동걸외,『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 2004.
한국철학사연구회,『한국실학사상사』, 도서출판 다운샘, 2000.
한영우,『조선후기사학사연구』, 일지사 , 1989.
이종범,「신경준-국토와 도로의 개념을 발견한 실학자-」, 조선대학교 ,2002.
양보경,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성신여자대학교, 1999.
하고 싶은 말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아울러 자료 구매하시는 분들을 위해 예쁜 레포트표지도 첨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