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1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1
 2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2
 3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3
 4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4
 5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5
 6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6
 7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7
 8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8
 9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와 인류학]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
3. E. P. 톰슨과 나탈리 데이비스의 저작 속의
군중, 공동체 그리고 종교 의식
4. 조선후기의 향리집단과 탈춤의 연행
5. 지역사회 이념의 통합과 성황사
6. 맺음말
본문내용
역사 연구의 새로운 주제로 등장한 문화는 대단히 포괄적인 개념이다. 문화는 학문․예술․종교 등을 총칭하는 상식적인 의미를 넘어선다. 이러한 문화에 관심을 갖는 역사가들은 문화를 단순히 정치․경제․사회 등과 구분되는 별개의 부분 영역으로 보거나, 혹은 그것들로부터 파생된 종속 영역으로 파악하는 시각을 거부한다. 문화에 관심을 갖는 역사가들은 문화란, 정치적 지배관계나 사회경제적 계급관계를 반영함과 동시에 그것들과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인식한다. 달리 표현하면 정치적․사회경제적 현실이 특정 개인이나 사회집단의 일상에서 구체적으로 경험될 때는 항상 문화적으로 매개되어 나타나고, 그런 경험들이 수용이나 거부․저항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처리되는 것도 문화적으로 결정된다는 뜻이다. 이처럼 문화는 사회 현실에 대한 표상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역사 속의 인간이 사회 현실을 인식하고 나아가 대응방식을 찾는데 준거의 틀을 제공하기도 한다.
우리는 신문화사적 접근을 통하여 기존의 역사서술을 문화사적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E.P 톰슨과 나탈리 데이비스의 저작을 통해 폭력이 공동체와 종교적 의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고, 탈춤을 통해서 본 향리집단의 계급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조선시대 순창지역의 상위지배계급이 지역사회내의 의례행위라는 문화적 행위를 통해 그 지역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하위계급에 이반시키는 일련의 모습들을 성황사의 현판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안병직,《오늘의 역사학》, 한겨레 신문사
한국종교사 연구회,《성황당과 성황제》, 민속원
린헌트 저, 구한울 역,《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 그 이론과 실제》, 소나무



수잔디잔,
이훈상,
이기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