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

 1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1
 2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2
 3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3
 4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4
 5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5
 6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6
 7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7
 8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8
 9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9
 10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10
 11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작가론] 증흥시도의 기치와 부세도의 이상 -목은 이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말 역사동향과 이색
(1) 여말 시대상황과 이색의 입장
(2) 신흥사대부의 개혁과 시문학 혁신운동

2. 이색의 문학관과 시 의식

3. 이색의 시 세계의 특징

4. 이색의 사상과 문학적 태도
(1) 이색의 동인의식
(2) 민생 현실에 대한 관심과 현실 인식

5. 문학사에서 본 이색의 의의
본문내용
1. 여말 역사동향과 이색

14세기 후반기 공민왕에 의해 시도된 개혁정책이 성공하지 못함으로서 고려 사회는 강제적으로 구질서의 청산을 강요당하게 되었다. 고려 왕조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는 이러한 왕조 교체기에 사대부들은 고려왕조를 지속시킬 것인지, 전제개혁을 거쳐 새 왕조를 이룩할 것인지 추세의 향방에 대한 선택을 강요당하고 그 선택에 따라 대립하게 되었다. 이 발표문에서 소개할 목은(牧隱) 이색(李穡)역시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고려왕조에 대한 절개를 지키다 정치적으로 몰락하는 시련을 겪었다.

(1) 여말 시대상황과 이색의 입장

이색은 고려와 원의 과거에 합격하여 중앙 정계에 진출한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부친의 격려를 받으며 공부에 전념하였다. 과거를 준비하던 이색은 20세가 되던 해 부친을 뵈러 연경에 갔다가 원의 국자감에 입학하게 되어 새로운 학문을 접하게 된다.
이색의 이러한 유학생활은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첫째는 안향에 의해 수입된 신유학을 발전, 확산시킬 수 있는 여력을 쌓아 국내 학술 사상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민족적 각성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대원제국의 수도에 체류하면서 그의 세계인식과 문명의식은 일국적 영역을 벗어나 확장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국제관계속에서 고려의 위상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두고 동인(東人)으로서의 자기의식이 선명하게 되었다고 하며 동인의식(東人意識)이라 한다. 임형택,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 의식과 문명의식」,『목은 이색의 생애와 사상』, 목은연구회, 일조각, 1996.

이후 이색은 두 번 더 원에 왕래하며 견문을 확장하는 한편 변화하는 대륙의 정세를 파악할 수 있었다. 28세에 서장관으로 원에 간 이색은 한림원에서 벼슬할 기회를 갖게 되었으나, 반란군에 의해 점차 허물어져가는 원의 실상을 확인하고 앞으로 다가올 고려의 변화에 대비하고자 귀국하여 본격적인 관인의 길로 접어들었다.
관료가 된 이색은 공민왕의 개혁에 참가하여 정치적 폐단과 토지제도 상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그러나 이색의 개혁방향은 토지소유상의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하려는 노선으로, 온건적인 개혁 의지를 보였다. 이는 향후 일관되게 유지되며 이색의 정치생애를 규정짓게 된다.
당시 중국은 원명교체기였다. 이때 공민왕은 고려의 자주성 확보를 위해 반원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국내의 체제질서 정비에 나섰고, 이색은 문교행정 상의 개혁에 몸담으며 그 한 축을 담당하게 된다. 그는 김구용(金九容), 정몽주(鄭夢周), 이숭인(李崇仁)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며 유학의 발전과 후진 양상에 기여하였다. 이로부터 많은 인재들이 배출되어 신유학의 보급과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개혁적 성향이 강한 이들 문신들은 이후 조선의 지배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참고문헌
李穡,『牧掙詩藁』권6,「又賦二首,自歎」
「貞觀吟 楡林關作」,『牧隱集』, 시고 권2

김시업,「목은의 군자의식과 민생, 풍속시」,『목은 이색의 생애와 사상』, 목은연구회, 일조각, 1996
윤재민,「고려 후기 사대부의 등장과 현실주의적 한시 경향」,『민족문학사 강좌 上』,민족문학사연구소.
임형택,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문명의식과 동인의식」,『목은 이색의 생애와 사상』,목은연구회, 일조각
이성호, 「中興詩道의 기치와 浮世道의 이상 - 목은 이색」,『한국고전문학작가론』,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 소명출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