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

 1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
 2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2
 3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3
 4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4
 5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5
 6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6
 7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7
 8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8
 9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9
 10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0
 11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1
 12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2
 13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3
 14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4
 15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5
 16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6
 17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7
 18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A+리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본론
1. 조선시대의 혼례의 배경과 그 의미
- 혼인의 형태
- 혼인의 규제
2. 육례와 주자가례/서민들의 결혼
- 서민들의 결혼
- 혼례식의 절차
- 혼례 상차림. 혼례복
3. 혼례에 따르는 민속
4. 이혼

III. 마치며
본문내용
들어가며...
오늘날 결혼과 혼인은 동의어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를 구분하기는 곤란하다. 그러나 법률상으로 혼인이란 용어는 사용되나 결혼이란 용어는 사용되지 않는다. 의미면에서 구별을 한다면 혼인은 제도적인 면을 중요시한 용어인데 반해 결혼은 인간관계 또는 상호 관계를 중요시한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인간관계의 중심은 당연히 인격 중심인 동시에 개별성보다는 연대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결혼의 핵심은 예법을 지키는 일이다. 만약 결혼 생활을 하면서 예절을 등한시하는 부부라면 결코 오래 지속되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의 인격 중심의 결혼은 ‘혼례’라고 불러야만 그 본뜻이 담겨지는 것이다. '예기‘의 혼의(婚儀)를 보면 혼인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혼례란 장차 두 성의 좋은 것을 합쳐 위로는 종묘를 섬겨 제사의 주인이 되며, 아래로는 자손을 후세에 계속시켜 조상의 대를 끊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 관계되는 바의 소중하기가 이와 같다. 때문에 군자는 이를 중히 여겨 감히 소홀히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과연 과거 우리 조상들은 혼례에 대해 어떠한 담론을 형성하고 어떻게 그를 지속시켜 왔는지를 ‘조선시대 혼인제도’라는 주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혼례는 실로 어떠한 의미를 지녔으며, 어떠한 형식으로 치러지고 지속되어 왔는지, 혼례에 따른 민속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조선시대 이혼은 어떻게 행해지고 있었는지 등을 다음을 통해 확인해볼 것이다.
1. 조선시대 혼례의 배경과 그 의미
혼례는 남녀의 생식력을 조건으로 할 때와 사랑을 조건으로 할 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자유로운 사랑을 조건으로 혼인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서 유교는 효도관념에 의해 생식력을 기본조건으로 삼아 자손보존이라는 면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개인끼리의 의사에 의한 결합이라기보다는 집안끼리의 계약이라는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집안 어른들끼리의 협의에 의하여 결정되었던 중매결혼이 성행하여 왔다.
그리고 혼인을 정하는 조건의 하나로 가문을 자세히 따졌다. 그것은 혼인에 의해 새로 생기는 사돈집과 처가, 그리고 외가라는 인척관계 사이에 작용하는 사회적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비롯된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점에서 혼인은 생활권의 확대라는 사회적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낮은 사람들 사이의 혼인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통혼권도 생활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위가 낮은 사람들의 생활권은 지위가 높은 사람들의 그것에 비해서 좁기 때문에 생긴 현상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의 관혼상제-장철수, 집문당, 1995 p.72~73.
조선의 관혼상제-김종혁, 중심, 2002. p.53~72
결혼문화와 예절-배영기, 학문사, 1994 p.101~107
일상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2-정연식, 청년사, 2005. p.162~177
여성과 성문화로 본 조선사회, 조선의 성 풍속-정성희, 가람기획, 2006. p.192~209

하고 싶은 말
본 자료는 연세대학교 [한국문화사]수업 중간과제로 제출하여 A+를 받았던 리포트입니다. 조선시대 혼인제도’라는 주제로 조선시대에 혼례는 실로 어떠한 의미를 지녔으며, 어떠한 형식으로 치러지고 지속되어 왔는지, 혼례에 따른 민속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조선시대 이혼은 어떻게 행해지고 있었는지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조하시고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