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론] CEPA

 1  [중국경제론] CEPA-1
 2  [중국경제론] CEPA-2
 3  [중국경제론] CEPA-3
 4  [중국경제론] CEPA-4
 5  [중국경제론] CEPA-5
 6  [중국경제론] CEPA-6
 7  [중국경제론] CEPA-7
 8  [중국경제론] CEPA-8
 9  [중국경제론] CEPA-9
 10  [중국경제론] CEPA-10
 11  [중국경제론] CEPA-11
 12  [중국경제론] CEPA-12
 13  [중국경제론] CEPA-13
 14  [중국경제론] CEPA-14
 15  [중국경제론] CEPA-15
 16  [중국경제론] CEPA-16
 17  [중국경제론] CEPA-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경제론] CEPA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서 론 ··························· - 1 -

2. 홍콩 반환 후의 경제침체의 현상··············· - 2 -

3. 중국과 홍콩간의 CEPA 체결··················- 4 -

3.1. CEPA의 주요 내용 ··················- 5 -

3.2. CEPA 체결의 배경 ··················- 6 -
3.2.1. 정치적 배경
3.2.2. 경제적 배경

3.3. CEPA 체결의 영향 ················· - 10 -
3.3.1. 긍정적 영향
3.3.2. 한 계

4. 시사점··························· - 12 -

5. 결 론··························· - 13 -

본문내용
1. 서 론

홍콩은 1997년 7월 1일 영국 식민지에서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바뀌었다. 영국이 중국과 南京條約을 체결할 당시만 해도 작은 어촌에 불과했던 홍콩은 영국의 식민지 하에서 국제금융 및 무역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1996년 말 1인당 GDP가 2만 5,300달러로 영국을 능가하였고 세계 8대 무역국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실시한 이후 홍콩은 대외무역 창구인 동시에 자금 조달처로서 중국의 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남수중, 『홍콩 편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 pp.7~8.
이러한 홍콩의 回歸 중국은 홍콩반환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香港回歸祖國’라고 하여 回歸라는 용어를 쓴다. 그러나 여기서는 편의상 홍콩 회귀가 아닌 반환이라는 단어를 쓰겠다.
에 대해 언론, 정치가, 경제학자, 기업가 등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홍콩의 장래에 대해 경제는 괜찮을지 모르나 정치가 문제가 된다고 예견하였다. 사실 1984년 중국과 영국 간에 홍콩반환을 합의하는 공동성명이 조인된 후 홍콩의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이 팽배하여 홍콩은 상당한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 그러나 반환이 다가오면서 홍콩 반환에 대해 역사적 운명으로 받아들으면서 안정적인 국면을 보였다. 비록 반환 당시, 홍콩의 장래에 대한 극히 일부 비관적인 견해가 있었으나 대부분 낙관적으로 보았다. 비관론자들은 주로 과거 중국에서 정치․사회적 범죄를 피해서 이민 온 사람들이 대부분으로 그들은 중국의 지나친 간섭과 ‘一國兩制’에 대한 약속 불이행, 중국 관료들의 부정부패 유입과 인권탄압 가능성 등의 이유로 인해 홍콩이 반환되면 자금의 대량 유출, 부동산 침체, 이민 증가 1996년 3월 영국이 홍콩주민에 대한 영국의 여권 신청을 마감하였는데 이때 대략 20여만 명 홍콩주민의 영국 발행 여권을 취득하기 위한 열기가 뜨거웠고 이는 홍콩주민의 불안한 심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비관론자들은 주장했다. 김원태․유진석, “返還 以後 홍콩의 將來”, 삼성경제연구소, 1997, pp.49~50.
, 사회 동요 등의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 예상하였다. 그러나 홍콩의 장래를 낙관하는 많은 사람들은 이와 다르게 설명했다. 그들이 주장하는 낙관론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 김원태, “반환이후 홍콩의 장래”, 삼성경제연구소, 1997
․ 김원태․유진석, “返還 以後 홍콩의 將來”, 삼성경제연구소, 1997
․ 남수중, 『홍콩 편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
․ 문흥호, 『13억인의 미래-중국은 과연 하나인가?』, 당대, 1996
․ 박세근, “중국과 홍콩의 자유무역협정(CEPA)체결 배경 및 영향”,『해외지역정보』, 한국수출입은행, 2003, p.57.
․ 심의섭․박영일, “홍콩차이나 주권반환과 경제성과”, 『경제경영연구 제17집』,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1998
․ 오동윤, “홍콩경제 침체 현황과 중국의 WTO가입 영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
․ , “홍콩경제의 디플레이션 현황과 향후 전망”,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03
․ , “홍콩의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하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 , “중국․홍콩 「경제파트너십 강화 협정」 내용과 시사점”,『세계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 , 『2003년 중국(3분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 이영기, “홍콩-중국간 CEPA협정 체결”, KOTRA China, 2003년
․ 이재걸, 『해외동향정보 2003년 6월』, 국제협력투자심의관, 2003
․ 임홍수, “홍콩과 중국의 ‘경제․무역관계 긴밀화 협정’체결”,『중국동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 조선일보 1998년 7월 2일자, “홍콩반환 1년, 추락하는 경제 축제는 이미 끝났다”
․ 중앙일보 2003년 7월 21일자 18면, “反中 열풍 거세지는 홍콩-國安法․불황에…본토가 싫다”
․ 曾淵滄, “吸引外資來港-CEPA的主要功效”, 『明報月刊』, 2003년 10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