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

 1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1
 2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2
 3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3
 4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4
 5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5
 6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6
 7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7
 8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천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한성순보에서 소개된 천문학 내용
1) 지구를 다룬 글
2) 천체 관련
3) 서양 천문 역사와 기행
2. 한성순보에서 천문학의 역할
1) 중화사상에서의 탈각
2)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3) 제왕학으로서의 천문학
4) 학술서로서의 역할

3. 한성순보에서 나타나는 천문학의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결론
본문내용
한성순보에 나타난 과학 - 천문학


서론
외국의 거센 통상 압박과 중국의 붕괴로 인해, 당시 조선에서는 ‘개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통상을 요구한 외세에 대한 반감과 선비들의 척사사상은 이런 개화를 추진하는 데에 큰 걸림돌이었다. 따라서 사회적 변동을 추구함에 있어서 ‘매체’를 통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절실하였고, 이러한 이유로 한성순보를 발간하게 된다. 이렇게 발간된 한성순보에는 개화를 위한 여러 가지 내용들이 다루어졌다. 외국의 군사 시스템을 비롯하여, 정치 체계, 우수한 기술 등이 소개 되었는데, 이 중에 천문학이 있다. 특히 천문학은 다른 과학기술에 비해 사색적이고, 실용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기에, 이 천문학 기사를 다룰 특별한 이유가 없어 보이지만, 개화를 위한 계몽이라는 맥락에서 천문학을 이해한다면, 한성순보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한성순보에 실린 천문학의 특징과 천문학을 어떤 식으로 바라보고 있었는지를 통해 한성순보를 이해하고 당시의 개화를 추진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1. 한성순보에서 소개된 천문학 내용
서양에서는 철학적 사상과 우주를 이루는 이치에 대한 이해로서 천문학을 공부했으며, 지구가 돈다는 논의가 이루어졌을 때 신의 위상이 큰 타격을 받았을 만큼 천문학이 갖는 의미가 컸다. 이는 서양에서는 하늘의 구성 원리와 그에 대한 이해가 ‘인륜과 도’로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도서기론을 취했던 우리나라는 이 천문학을 ‘도’로써가 아닌 ‘기’로써 수용하고 있으며, 이는 창간 첫 호에 실린 지구론(1883. 10. 31)에도 등장한다. 이 지구론 에는 “세상에서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졌다고 하는데, 이는 다만 천지의 도를 말한 것이지 천지를 말한 것은 아니다.”라는 부분이 나오는데 이는 서양에서 들여온 천문학을 동양의 ‘도’와는 별개로 바라보며, 학문으로써 바라봤음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천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은 이러하였으며, 이런 천문학 중 한성순보에 소개된 내용을 보자면 지구에 관한 글과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 이야기, 천체에 관한 논의 그리고 원경에 대한 정보 등의 기타 여러 가지 내용들이 다루어져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