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

 1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1
 2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2
 3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3
 4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4
 5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5
 6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6
 7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7
 8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8
 9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9
 10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각기호학] 간판을 통해 본 압구정동과 종로의 거리 이미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종로, 압구정, 거리
2. 방법론으로써의 기호학
3. 간판 분석 과정
4. 분석 결과
5. 결론
자료1. 도상성 변수별 사진의 예
본문내용
1. 종로, 압구정, 거리

사람이나 차가 많이 지나다니는 길, 그러한 길들의 다수가 모여 하나의 단위로 집합하여 또 하나의 커다란 길을 만들어낼 때, 그것을 우리는 일반적으로 ‘거리’라고 부른다. 거리를 길의 집합이라고 정의한다면, 그 거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길들이 드러내는 이미지의 조합이 그 거리의 이미지를 생성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길들의 이미지는 그들 속에 갖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발현된다.
우리의 생각 속에 하나의 이미지가 개념화될 때, 그 이미지는 우리의 모든 감각을 통하게 된다. 가령, 특정한 길에서 규칙적으로 나는 소리가 있을 수 있고 어떤 길은 길바닥을 밟는 느낌이 다른 길과 다를 수도 있다. 어떤 곳을 걸을 때만 유독 심하게 나는 냄새가 있는 경우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는 작업은 보통 어떤 개념에 대한 ‘영상’을 규정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길의 이미지를 판단하는 매개체로서의 감각은 시각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이렇게 길의 이미지를 시각을 통해 판단하고자 한다면, 길을 구성하는 시각요소들을 선별해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작업은 도시에서의 거리, 특히 그 도시의 번화한 정도가 높을수록 수월해질 것이다. 도시가 번화하다는 말은 곧 유동인구가 많다는 말로 해석될 수 있다. 인구가 많이 몰리는 곳은 그 인구를 겨냥하는 여러 시설이 들어서게 마련이고 그 시설들이 생명력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의 존재를 사람들에게 드러내야 한다. 그 드러냄을 위하여 가장 크게 사용되는 매개체는 간판(sign)으로 대표되는 시각적 요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