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무가 레포트

 1  [국문학] 무가 레포트-1
 2  [국문학] 무가 레포트-2
 3  [국문학] 무가 레포트-3
 4  [국문학] 무가 레포트-4
 5  [국문학] 무가 레포트-5
 6  [국문학] 무가 레포트-6
 7  [국문학] 무가 레포트-7
 8  [국문학] 무가 레포트-8
 9  [국문학] 무가 레포트-9
 10  [국문학] 무가 레포트-10
 11  [국문학] 무가 레포트-11
 12  [국문학] 무가 레포트-12
 13  [국문학] 무가 레포트-13
 14  [국문학] 무가 레포트-14
 15  [국문학] 무가 레포트-15
 16  [국문학] 무가 레포트-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무가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가란 무엇인가
2. 무가의 특성
3. 무가의 내용
4. 무가의 갈래
5. 무가의 전승 원리와 구연방식
6. 결론

본문내용
. 무가란 무엇인가

1) 무가의 개념과 범주
무가는 무당이 무속의례에서 구연하는 음악적 사설이나 노래를 말한다. 무속의례는 굿이 일반적이지만, 독경형태도 있다. 따라서 무가는 무당이 굿이나 독경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는 노래가 아닌, 말로 구연되는 부분도 있고, 행위와 대사로 표현되는 부분도 있어서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신을 섬기는 무(巫)가 신에 대하여 베푸는 의식에서 신을 부르고, 신에게 인간의 의사를 전달하고 또 신의 의사를 인간에게 전달하는 언어를 말하며 제의적(祭儀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특수한 구비문학이다.

(1) 무속의례의 유형과 절차
한국의 무속의례는 크게 굿과 독경으로 나눌 수 있다. 굿은 강신무나 세습무들이 하는 무속의례로 노래와 춤을 수반한다. 독경은 독경무들이 하는 무속의례로 경을 외우거나 읽는 것이다.
굿
지역이나 주재하는 무당, 굿을 하게 된 동기나 목적 등에 따라서 그 절차와 유형이 매우 다양함
· 사가의 굿 : 개인이 하는 굿
· 마을의 굿 : 마을사람들이 공동으로 하는 굿
· 신굿 : 강신무들이 무당 자신을 위해서 하는 굿
신을 모셔다가[청배]→ 그 신을 대접하여 흡족하고 즐겁게 놀린 후에[오신]→그 신을 돌려보내는[송신]
독경
· 기복제 : 복을 빌기 위한 독경으로 안택, 고사, 삼신굿, 삼재풀이, 살풀이 등
· 구병제 : 질병을 낫게 하기 위한 독경으로 병굿, 푸닥거리
· 강신제 : 신명굿이라도 하며 무병을 앓는 사람이 행하는 입무식 즉 내림굿
· 위령제 :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여 좋은 곳으로 천도하기 위한 것으 로 해원굿, 지노귀, 오구굿 등
독경은 굿과는 달리 절차가 없고 제물도 훨씬 간소함

굿과 독경은 그 성격이 다르고, 거기서 불리거나 읊조려지는 문서 역시 그 성격이 다르다. 특히 구비문학이라는 입장에서 보았을 때에는 ‘구비전승’이라는 기본적 성격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굿에서 불리는 노래가 무가라는 데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독경에서 읊조려지는 경 그 자체는 무가로 보기에는 곤란한 것들이 많다. 무경(巫經)에 들어 있는 자료는 구비전승된 것이 아니라 책을 보고 배운 것이고, 심할 경우 책을 들고 직접 읽기도 한다는 점에서 구비문학의 자료로 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무경은 일단 구비문학의 자료에서 제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독경무에 의해 구연되기는 하지만 축원, 덕담, 해원사(解寃辭) 등은 구비전승되는 것이고 문학성도 풍부하기에 무가자료로 포함시킬 수 있다.

(2) 무당의 유형과 무속의례의 관계
무당은 무속의례를 주관하는 사람이다. 원래 무당이라는 말은 무속의례를 주재하는 여자만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며 남자에 대해서는 격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도 무당이라고 하면 여자 무당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남자 무당에 대해서는 박수, 박사, 화랭이, 양중 등의 용어가 있다. 제주도에서는 삼방이라는 용어가 남녀 구별 없이 사용된다.
한국 무당의 유형에 대해서는 강신 유무만을 분류기준으로 삼아 강신무와 세습무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며, 무가와 관련시켰을 때 무당은 굿을 하는 무당인 굿무와 독경을 하는 무당인 독경무로 나눌 수 있다. 굿무는 강신된 굿무와 세습되는 굿무가 있는데 이들을 강신무, 세습무라고 구별해서 부른다.
강신무
신 내린 무당으로 신의 의사를 인간에게 전달하는 예언자의 기능
한강을 경계로 북쪽지역에서 주도권 장악
굿에는 공수(신이 인간에게 하는 의사표시, 말)가 있는 것이 특징
세습무
대대로 세습되는 무당으로 인간의 뜻을 신에게 청원하는 사제로서의 기능
한강을 경계로 남쪽지역에서 주도권 장악
독경무
경을 읽어 선신을 청해 그 위력을 빌어 귀신을 위협, 추방, 포살해서 제화초복을 하는 기능
우리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지만, 충청도지역에서 주도권 장악
앉아서 하는 앉은 굿

강신무는 신이 내린 무당으로 신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그래서 신통한 능력을 인정받아야 무당 일을 할 수 있고 부와 명성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강신무의 굿에선 공수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오락성보다는 신성성을 앞세운다.
세습무는 신 내림을 받지 않아도, 가업을 이어받아 무당이 된다. 그들은 신통한 능력은 없지만 어릴 때부터 굿하는 모습을 보고 자랐기 때문에, 춤이나 노래 등의 기교가 뛰어나다. 예술적 재능과, 대대로 축적된 굿의 형식, 학습을 통해 습득된 기예가 세습무들의 중요한 생계수단이 되며, 따라서 세습무의 굿은 강신무의 굿에 비해 그 사설이나 춤이 세련되고 예술적으로 다듬어진 경우가 많다. 그리고 세속적이고 오락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3) 무가와 굿의 관계
무가는 춤과 함께 굿의 가장 핵심적 요소이다. 연행되는 상태의 무가는 음악과 사설이 결합되어 있지만 문학연구 대상으로서의 무가는 그 사설만을 가리킨다.
굿은 풍성한 제물을 진설하고, 신의 덕과 위업을 떠받들고 찬양하는 노래를 부름으로써 그 신이 즐겁고 흐뭇한 마음이 생겨 복을 주고 재앙을 거두어 가게 하려는 것이다.
‘무(巫)’는 무당이 하늘과 땅을 연결시키는 중재자의 구실을 하며, 그 방법은 음주와 가무를 통해서라는 것을 함께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가는 굿에서 주로 오신을 위해 불리며, 춤과 함께 가장 핵심적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없다.

2. 무가의 특성

참고문헌
홍태한,『한국서사무가연구』, 민속원, 2002.
강등학 외 8명,『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이경엽,『무가문학연구』, 박이정, 1998.
장덕순 외,『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99.
윤용식, 『구비문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1996.
소재영 외, 『한국의 민속문학과 예술』, 집문당, 1998.
김기창,「무가 교육론」, 『교육한글 제 6호』, 한글학회,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