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

 1  [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1
 2  [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2
 3  [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3
 4  [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4
 5  [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5
 6  [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양] 국어 -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1
Ⅱ. 祭亡妹歌 ․․․․․․․․․․․․․․․․․2
1. 지은이와 지은年代․․․․․․․․․․․․․2
2. 內容 및 主題 ․․․․․․ ․․․․․․․․2
Ⅲ. 獻花歌 ․․․․․․․․․․․․․․․․․․3
1. 지은이와 지은年代․․․․․․․․․․․․․3
2. 內容 및 主題 ․․․․․․․․․․․․․․․4
Ⅳ. 薯瞳謠․․․․․․․․․․․․․․․․․․․5
1. 지은이와 지은年代 ․․․․․․․․․․․․․5
2. 內容 및 主題 ․․․․․․․․․․․․․․․5
Ⅴ. 맺음말 ․․․․․․․․․․․․․․․․․․․6
※ 參考文獻․․․․․․․․․․․․․․․․․․6

본문내용
I. 들어가는 말

鄕歌는 신라시대에 지어져 『三國遺事』와 『균여전』에 실려 전하는 가요 작품이다. 鄕歌 또는 詞腦歌라고도 불려진 이 가요의 학술적인 용어 사용에 관해서는 학자에 따라 그 개념과 의미가 다르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 항에서 다루되, 여기서는 향가라는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현재 전하는 향가의 편수는 『三國遺事』14수, 『均如傳』11수, 도합 25수가 전부다. 『三代目』이라는 歌集이 있었고, 고려시대까지 향가의 잔영이 남영이 남아 있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지어진 편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전하지 않는 전체적인 규모나 성격을 파악하기란 어렵다. 더구나 『均如傳』11수는 한 사람의 지은 바일 뿐만 아니라, 그 문학적 품위에 있어서도 『三國遺事』속의 그것보다 뒤진다. 이에 비하면 『三國遺事』14수는 일단 전체에서 뽑아진 것이며, 그 수준도 문학적 가치를 인정 받을 이상의 것들이다. 그렇다면 『三國遺事』14수에서 향가의 전체적인 풍모를 모색할 수 밖에 없다.
본 글에서 제망매가, 헌화가, 서동요를 중심으로 지은이와 연대, 내용 및 주제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Ⅱ. 祭亡妹歌
1. 지은이와 지은年代
月明師는 국가적인 의례에서 「도솔가」를 부르고 개인적인 의례에서 「祭亡妹歌」를 부른 鄕歌작가로서 종교적 의식과 함께 하는 노래를 남겼다는 점에서 특수하다 그는 향가뿐만 아니라 피리의 名人으로서 지명전설과 인명전설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三國遺事에서 일연은 그를 마치 승려인양 기록하고 있고 후대의 학자들은 郎僧, 巫僧, 神僧 등으로 신분을 파악하고 있지만 둘 다 신빙성이 약하다.
일반적으로 무불습합이 신라시대 이래 우리의 宗敎史를 장식한 한 현상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러한 습합은 사상적 습합일 뿐 신분상의 混亂을 초래한 것은 아니었다. 예컨대 僧侶는 승려요, 무당은 무당인 채로 각기 상대적으로 서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영향을 받기도 했다. 소위 낭승, 무승, 신승, 등으로 를 비롯한 몇몇 향가작가을 분류하는 것은 사상적 습합을 신분에까지 확대․적용해서 획일화시켜버린 탓에 잘못 만들어진 말이다. 실제 화랑은 국가에 몇 안된다. 화랑을 수뇌로 하여 그 밑에 낭도라는 조직이 이었기 때문에 그들까지를 합해 화랑도라고 부른다. 는 바로 이라고 칭하는 어떤 화랑의 밑에 소속된 일원이었던 것이다. 「제망매가」의 제작연대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의 대표적인 작품인 「도솔가」의 製作年代, 곧 경덕왕 19년(A.D. 760)보다는 먼저 지어진 것으로 본다.
2. 內容 및 主題


== 제망매가 ==
生死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루고 어찌 갑니까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에서 만날 나
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작품은 시종일관 누이의 죽음에 관한 심정을 읊고 있다. 이 작품은 그 해독에 있어 연구자간의 이론이 비교적 적고 작품의미상 크게 논란이 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김완진 교수의 현대어 역에 의존키로 한다.

시적 構成法으로 보아 매우 치밀한 안배를 하고 있으며, 담화의 형태로 보아 직설-비유-직설을 교체하면서 상황의 제시와 克服의 의지는 직설로서 나타내고 상황이 가져다 준 작가의 시적 정서는 비유로서 심화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죽음에 대한 종교적 인식이나 극복의지는 종속적인 것이고 누이를 잃은 애상감의 정서가 작품의 시정을 파악하는 데 주된 대상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 狀況의 提示와 마무리의 직설적 언표라는 점에서 미적 문맥이 서로 연결되어 해명되어야 함을 알 수 있는데 죽음의 문제에 수반된 인식론적 觀念을 공간적이고 시각적인 심상으로 變形시키면서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이 시에서 또 하나 날카롭게 제기되는 시적 긴장은 사후의 세계에 대한 불안과 회의의 정서와 극복에의 確信(미타찰에서 만날) 사이에 드러나는 불일치이다. 그러나 이 시는 누이의 죽음에 대한 작가의 정서 표출이며 영재의 노래로 불려졌음에 비춰 일반 중생을 청자로 삼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Ⅲ. 獻花歌
1. 지은이와 지은年代
「獻花歌」는 꽃을 꺾어 비치면서 부른 노래이다. 성덕왕(재위 702~737) 때 이라는 사람이 부인 와 함께 강릉 태수로 부임하는 도중에 노래 두 편을 짓게 되는 사건이 일어났다고 한다. 처음에는 부인이 벼랑 위에 철쭉꽃을 탐내자 암소를 끌고 지나가던 노인이 꽃을 꺾어 바치면서 「헌화가」라고 하는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다음에는 부인이 바다의 용에게 잡혀가는 사건이 벌여지자 또 어떤 노인이 나타나 경내의 백성을 모아 막대기로 바닷가를 두드리며 「해가」라는 노래를 부르라고 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나라 동쪽 고을에 기근이 심해서 백성이 流浪하기 때문에 사자를 파견해서 구제한 일이 있었다. 그 해가 705년(성덕왕 4년)이다. 삼국사기의 기사는 같은 사건을 다른 측면에서 다루었으므로 두 자료를 서로 관련시켜 해석해야 마땅하다. 실제로는 민란이 일어나는 정도에까지 이르렀으므로 을 파견해서 진압하고 수습한 것이 사태의 진상이 아닌가 한다.
그런데 『삼국유사』에는 이 부인과 함께 갔다는 사실이 강조되어 있고, 부인 때문에 여러 가지 사건이 벌어졌다고 했다. 물길을 뜻하는 라는 기이한 이름을 가진 부인은 용모가 아름다워서 궁벽한 곳을 지날 때마다 귀신 따위에게 빼앗기게 되었다고 했다. 이 점은 이 무당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자아내게 한다. 민심이 소란하자 은 힘으로 다스리고, 부인은 굿으로 다스리기 위해서 두 사람이 함께 갔으리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 參 考 文 獻
1. 김승찬, 「향가문학론」, 새문사, 서울 : 1986
2. 김준영, 「한국고전시가연구」, 형설출판사, 서울 : 1990
3. 백영 정병욱선생 10주기 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 「한국고전시가 작품론1」,
서울 : 집문당, 1992.
4. 박노준, 향가, 「열화당」, 서울 : 1991
5. 정병욱, 「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서울 :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