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

 1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
 2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2
 3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3
 4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4
 5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5
 6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6
 7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7
 8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8
 9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9
 10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0
 11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1
 12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2
 13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3
 14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4
 15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5
 16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철학]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명말청초의 상황과 李贄의 생애
1. 명말청초의 상황
2. 李贄의 생애에 대하여

Ⅲ. '童心說'에 대하여
1. '童心'이라는 말의 유래
2. 李贄의 童心說 고찰
3. 童心說에서 私의 긍정까지

Ⅳ. 李贄와 '童心說'에 대한 후대의 평가

Ⅴ. 李贄의 '童心說'에 대한 나의 견해

Ⅵ. 나오는 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중국의 역사중에서 16,7세기 명말 청초의 시기는 여러 가지면에서 혼란과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그런데 앞으로 다룰 李 贄라는 인물이 바로 이 시기에 살았던 사람이다. 그동안 이지에 대해서는 나름대로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어느 정도의 많은 사람들이 알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막상 이 글을 쓰기 위해서 자료를 찾아본 결과 다른 여러 철학자들에 비해서 이지의 사상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는 자료는 많지 않았다. 그리고 나와 있다 해도 아주 적은 부분에서 그의 사상이 단편적으로 언급되어져 있었고 번역되지 않은 책들이 상당히 많았다. 왜 그런걸까? 그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언급에서 나름대로의 그 이유를 찾아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순자가 그의 제자, 李斯로 인하여 중국철학사상에서 이단으로 지목되어 왔듯이 양명학도 李贄로 인하여 이단으로 평가받은 적이 있는 것이다. 생각하기에 '이단'이라는 용어 자체에서부터 그러한 이단으로 지목된 사상에 대해서는 일체의 접근을 못하게 하는 어떠한 힘이 내포되어 있는 것 같다. 반면, 李贄로 인하여 양명학은 주자학보다 더 근대적 사유에 가깝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과연 '이단'이란 무엇인가? 앞으로 이 글에서 살펴보겠지만 李贄는 그 당시 유학자들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고 그러한 李贄의 태도는 이단으로 지목되어 많은 박해를 받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더욱 주목하게 되는 것은 李贄 자신이 스스로 이단으로 자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미 이루어져 있고 많은 사람들이 당연시하며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어떠한 사상도 그대로 따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그의 태도는 내에 있는 '동심설'이라는 부분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이지의 '동심설'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나아가서 이러한 이지의 사상이 지금 우리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나름대로 생각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