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와 통도사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 관음도, 수월, 통도사, 통도환타지아, 대웅전, 우운대사]

 1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와 통도사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 관음도, 수월, 통도사, 통도환타지아, 대웅전, 우운대사]-1
 2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와 통도사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 관음도, 수월, 통도사, 통도환타지아, 대웅전, 우운대사]-2
 3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와 통도사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 관음도, 수월, 통도사, 통도환타지아, 대웅전, 우운대사]-3
 4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와 통도사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 관음도, 수월, 통도사, 통도환타지아, 대웅전, 우운대사]-4
 5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와 통도사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 관음도, 수월, 통도사, 통도환타지아, 대웅전, 우운대사]-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와 통도사 [가가미진사, 수월관음도, 관음도, 수월, 통도사, 통도환타지아, 대웅전, 우운대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웅전은 임진왜란으로 인해 소실된 것을 1645년 우운대사가 중건한 건물이다. 건립연대가 확실한 조선시대 중기의 대표적인 건축으로 지붕의 청동으로 만든 찰간을 비롯하여 백자연봉과 무쇠와 청동으로 만든 기와 등은 일반 건축에서 비슷한 예를 찾기 어렵다. 그리고 대웅전의 가장 큰 건축적 특징은 지붕 모양이 丁(정)자형이라는 특이한 구조와 함께 정면과 측면의 구분 없이 동, 서, 남, 북 모든 방향이 정면성을 보이는 독특한 방향성에 있다. 특히 내부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았는데 이는 대웅전 뒤에 있는 금강계단에 석가여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기 때문이다. 겉모습 또한 다른 건물에 비해 규모도 크고 계단의 높이도 높았다. 무엇보다 달랐던 것은 대웅전 안의 모습이었다. 절에 많이 안 가봐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지만 대웅전 안에만 부처상이 없는 것이 특이하였다.
대웅전 옆으로는 바로 붙어서 금강계단이라는 곳이었다. 계단이란 계를 수여하는 의식이 행해지는 장소로, 통도사 창건의 근본정신은 바로 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에 있다. 현존하는 금강계단은 창건 이후 수차에 걸쳐 중수되었기 때문에 창건 당시의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다. 다만의 기록에 ‘계단은 2층으로 위층 가운데에는 마치 가마솥을 엎어놓은 것과 같다’라는 기록을 통해 그 형태가 현재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금강계단을 둘러보고 내려오는데 조그마한 다리와 그 옆에 연못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연못 안에 무수히 많은 동전들을 바라보며 나도 그저 재미삼아 주머니에 있는 돈을 던져보았다.
이제 다 둘러본듯하여 나가는 길에 특이하게 생긴 탑을 하나 보았는데 탑의 이름 또한 특이하였다. 봉발탑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발탑은 석가모니의 발우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석조물이다. 발우란 스님들이 공양할 때 사용하는 식사용기이자 스승이 제자에게 법을 전하는 전법의 상징물이다. 이처럼 미륵불을 모신 용화전 앞에 봉발탑을 모신 것은 석가모니께서 입멸한 후 56억 7천만년 후에 이 땅에 내려와 부처가 되라는 석가모니의 뜻을 받들어 미래에 출현하실 미륵불의 출세를 기다린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