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

 1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
 2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2
 3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3
 4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4
 5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5
 6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6
 7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7
 8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8
 9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9
 10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0
 11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1
 12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2
 13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3
 14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4
 15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5
 16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6
 17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7
 18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8
 19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19
 20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사찰공간의 무대 배경적 실상

3. 사찰공간의 문학적 활용양상

본문내용
잘 아는 바와 같이, 소설이 구성되기 위해서는 인물·사건·배경을 필요로 한다. 이 중 시간과 공간을 포괄하는 배경은 그것이 소설구성에서 상당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작품분석에서는 인물이나 사건에 비해 제대로 주목을 끌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소설 논의에서 배경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질 필요가 있다 하겠다.
배경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공간은 작중인물들이 활동할 수 있는 무대의 역할을 할 뿐 만 아니라, 작중 분위기의 조성에도 기여하는 등 작품구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에 분명하다. 그리하여 그간 고전소설 연구에서도 부분적으로 공간에 대한 검토가 시도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공간이 지닌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고전소설의 공간연구는 아직도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따라서 이 방면의 논의는 앞으로 보다 활성화되어야 하리라 보아진다.
고전소설에는 天上, 龍宮, 仙界, 地獄, 宮闕, 戰場 등 다양한 무대공간들이 나타난다. 고전소설의 서사사건은 이러한 공간들 사이를 작중인물들이 오가며 진행된다. 寺刹 역시 고전소설에서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는 여러 공간들 중의 하나로, 상당수의 고전소설 작품에서 비중 있는 무대배경으로 활용된다. 이런 점으로 인해 사찰공간은 고전소설의 배경 논의에서 단편적으로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사찰공간의 구체적인 실상을 실증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한 개별적인 연구는 본격적으로 시도된 바가 아직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찰공간이 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고전소설의 사찰공간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다음에서는 우선 무대배경으로서의 사찰공간은 고전소설 작품에서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으며, 이어서 이 사찰공간이 작품 내에서 어떤 성격의 무대로 활용되고 있는지 검토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논의가 고전소설 속 사찰공간의 실체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명함은 물론 고전소설의 총체적인 공간실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바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구활자 소설총서 고전소설』, 민족문화사, 1983.
『구활자본 고소설전집』, 인천대 민족문화연구소, 1984.
『한국고전문학전집』,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3.
김용범,「조선조 소설의 서사공간 연구」,『한국학논집』제5집,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984.
김현준,『사찰, 그 속에 깃든 의미』, 효림, 2002.
사재동,「배경론」, 한국고소설연구회,『한국고소설론』, 아세아문화사, 1991.
신상성 유한근,『한국문학의 공간구조』, 형설출판사, 1986.
이재문,「고소설 공간배경의 상징적 기능에 관한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0.
이종은,『한국의 도교문학』, 태학사. 1999.
정주동,『고대소설론』, 형설출판사,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