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

 1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1
 2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2
 3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3
 4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4
 5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5
 6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6
 7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삼국유사 안에서 등장한 서역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문제의식

1. 한반도내의 국가는 어떻게 멀기도 아주 먼 서역까지 닿을 수 있었는가?

2. 인도는 불교 본산지로 삼국유사 내에 한반도 국가의 불교 부흥에 영향을 끼쳤는데 어떤 형태였는가?

◉ 결론
본문내용
1. 한반도내의 국가는 어떻게 멀기도 아주 먼 서역까지 닿을 수 있었는가?
여기서는 크게 북방 육로와 남해로를 통한 바닷길로 나누었다.
1) 비단길(엄밀한 의미는 북방 육로라고 해야 맞다)
비단길은 동방에서 서방으로 간 대표적 상품이 중국산의 비단이었던 데에서 유래하는데 서방으로부터도 보석·옥·직물 등의 산물이나 불교·이슬람교 등도 이 길을 통하여 동아시아에 전해졌다. 한반도까지 이러진 경로, 즉 루트는 천축 → 서역 → 중국 → 한국 순이다.
§ 텍스트 분석

≪삼보감통록(三寶感通錄)≫에 고구려 요동성(遼東城) 옆에 있는 탑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옛 노인들이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러하다. (중략) 지금 곳곳마다 상서로움이 나타난 것이 하나 둘이 아닌데, 아마도 진신사리(眞身舍利)는 그 감응을 헤아리기 어렵다. 삼국유사 p 304~305 遼東城育王塔


여기서는 요동성 옆에 있는 탑의 발견으로 인하여, 승려를 찾다가 범서가 나오는 장면이 있다. 그래서 성왕의 불심으로 불교를 나타내는 7층 목탑을 세우게 된다. 요동성이면 현재 중국 둥베이 지방의 옛 성으로 경로가 중국을 거쳐 고구려로 들어온 북방 육로라는 걸 추리할 수 있다. 인도(천축)와의 교류도 있었겠지만 불교의 전파의 측면이 높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2. 항목에서 하겠다.

문수보살은 자장법사에게 말하였다.
“너의 나라 왕은 천축 찰리종(刹利種)의 왕으로 이미 불기(佛紀)를 받았기 때문에 특별한 인연이 있어 동이(東夷)의 공공(共工)의 종족과는 같지 않다. (중략) 자장법사는 이것이 보살의 변화임을 알고는 눈물을 흘리며 물러갔다. (중략) 그리고 탑을 세운 후에 팔관회를 열고 죄인을 풀어주면 밖의 적이 해를 끼치지 못할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김원중, 을유문화사, 2002
고대문명교류사, 정수일, 사계절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혜초, 정수일 역주, 학고재, 2004
네이버백과사전
야후백과사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