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

 1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1
 2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2
 3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3
 4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4
 5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5
 6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6
 7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7
 8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8
 9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9
 10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10
 11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차지하는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Ⅴ. 자녀의 서울대 입학의 의미
Ⅱ.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Ⅵ. 결론 및 제언
Ⅲ.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의미와 전업주부 참고문헌
Ⅳ. 삶의 만족도에 자녀가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Ⅲ.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의미와 전업주부

삶의 민족도 대한 논의는 이미 1980년대 이후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초유의 관심사가 되었다.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논문과 단행본의 잇따른 출간이 그러한 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개인 복지의 실체를 규정짓는 생활 영역들의 주관적 만족감”(채정숙, 조희금, 박충선, 정영숙, 1997.p245 :김정자 외 7인 재인용) 인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인 것과 주관적이 것으로 나뉘어 이제껏 살펴져 왔다. 중년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는 깊은 질적 연구를 통해 여러 특성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기보다는 그동안 중요한 것으로 부각된 것에 대해 실제로 어떻게 표현하고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내고, 그 원인을 추적해 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앞서 그간의 연구와 논의는 어떤지 삶의 만족도와 전업주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그에 대한 면접대상자의 논의를 들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삶의 지표를 가지고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무엇보다 기혼 여성의 삶의 질에 관한 척도는 사회생활 영역보다는 생활 영역에 대한 부분이 클 것이므로 이에 맞는 측정에 필요할 것이다. 물론 이것은 양적 연구에서의 척도이지만 우리가 보고자 하는 것은 척도에 따른 양적 기여도를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전업 주부에 있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자녀에 의한 정도를 확인하여 그 기본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80년대에 들어와 여성의 삶의 질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많았지만 그 척도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로 대부분의 선행연구(고정자, 김갑숙, 1997: 김경숙, 이정우, 1993: 김정자:1998 재인용) 에서는 삶의 만족도 측정에 있어 외국개발 척도를 사용하여 한계가 있었다. 둘째로는 삶의 만족도라는 것은 주관적 경험의 소산이므로 심리적 측면의 차이를 찾아야 할 것이다. 중년 주부의 심리적 안녕감을 살펴보기 위해 ‘중년기 주부의 가족역할 수행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신기영, 옥선화 1997)를 바탕으로 기혼 중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과 이에 자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심리적 복지란 한 개인의 심리적 건강 상태를 측정해 주는 지표로서 다양한 집단에 대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었던 생활 만족도와 행복감 등의 개념 중 가장 중심적인 개념이다(신기영,옥선화 1997) 중년기 주부의 심리적 복지의 관련 변인으로 역시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생활 영역에서의 가족 역할 수행으로 나누어 보고 있다. 전자는 연령, 교육 수준, 가계소득, 종교 유무를 중심으로, 후자는 배우자역할 수행과 어머니 역할 수행, 친족 관계 유지자 역할 수행으로 나누어 보고 그중 어머니 역할에 대한 중년전업주부의 영향은 어떤지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김정자, 김경연, 김선희, 정영숙, 심혜숙, 최원철, 최순, 문소정 (1998),“ 한국 기혼 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Ⅱ) : 한국 기혼여성의 삶의 질 실태 및 영향요인.
대한 가정 학회지, 36(12).

노영주 (2001), “이혼 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2).

신기영, 옥선화 (1991), “중년기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신기영, 옥선화 (1997), “중년기 주부의 가족 역할 수행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1).

이소영 (2001), “자녀의 정서적 지원과 모-자녀간 의사소통 특성 지각에 따른 저소득층 여성 가장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명한 (1998), 삶의 질에 관한 국가간 비교 , 서울: 집문당

현온강, 조복희 (1994), “부모의 역할 만족도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1(1).

Tom Luster & Lynn Okagaki (1993) Par-eating : An ecological perspective. 박성연, 도현심, 정승원 옮김 (1996) 부모-자녀 관계 : 생태학적 접근 . 서울 : 학지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