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

 1  [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1
 2  [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2
 3  [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3
 4  [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4
 5  [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5
 6  [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사] 당대 도호의 발생원인과 그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당대 逃戶의 발생과 그 대책
3. 당대사회에 끼친 逃戶의 영향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唐代 전반기는 당 왕조 성립에서부터 安史의 亂이 일어나기까지로 이 때의 對民 支配構造는 均田制라는 토지제도, 租庸調라는 조세체제, 府兵制라는 군사조직, 里寸․隣保라는 향촌조직의 네가지를 중심으로 확립되었다. 그러나 당대 전반기의 對民 지배구조는 안사의 난 이후 급격한 변화를 하게 되는데 이는 농민들이 국가에서 지급한 토지만으로는 자체 생계유지가 곤란해지게 되었으며, 상당부분의 토지가 농민 이외의 다른 계층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어 향촌사회는 계층분화가 심화되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가속화되어 균전제 실시하의 당대 전반기와 같은 안정된 농민생활을 기대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국가도 재정면에서 심각할 정도로 곤란에 처하는 상태를 맞이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당대 전반기의 대민 지배구조가 안사의 난을 기점으로 급격한 변화가 초래되었다고 설명하는 것은 안사의 난을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미 그 이전부터 동요하는 모습이 사료상에 자주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요의 주된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逃戶이다. 이미 무측천시기부터 逃戶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는 것은 이 시기부터 逃戶가 국가에서 걱정해야 할 정도로 이미 사회 문제로 등장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후 현종기에 이르러서도 逃戶의 문제는 그치지 않고 더욱 심각해져 이것에 대한 국가차원에서의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호적의 작성을 통하여 민호를 공권력의 통제권 안에 편입시켜, 이를 근거로 필요한 정책을 추진했던 것은 중국의 역대왕조를 통하여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바이다. 이처럼 대민지배의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戶籍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던 점에서 당대도 에외는 아니었다. 그런데 이러한 호적제를 통한 대민 지배가 실질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客戶의 정확한 호구 내력에 대한 파악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당조의 호적제 운영을 전제한 대민지배에 타격을 준 것은 호적에 등재되어있던 호구가 본적지를 떠나 타향에 유랑 혹은 정착하여 당조의 통제권 밖으로 이탈하게 되는 경우라 하겠다. 물론 逃戶의 발생은 당대에 한정되지 않는 通時代的인 문제이지만 당조의 대민지배의 근거가 호적제를 통한 호구의 파악에 있으며 이를 통한 收取制度의 운영이 財政收支를 결정하는 변수였기 때문에 逃戶 문제는 당조의 사회․경제 정책을 추진하는데 심각한 장애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때문에 逃戶에 대한 檢括은 浮流하는 호구를 호적 編制內에 편입시켜 사회적 안정을 도모하려는 목적에서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수취제도 운영을 위한 담세원을 확보한다는 재정적 의미에도 중요하였다.
당대를 통하여 호적 登載를 전제한 총호구수는 당초이래 開元․天寶年間까지 계속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내다가 안사의 난이 발발한 후에는 급격한 감소가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
참고문헌
朴春澤, , 2, 1997.
朴春澤, . 21, 경북사학회, 1998.
朴根七, , 157, 역사학회, 1998.
金羨珉, , 2, 1996.
누노메 조후․구리하라 마쏘오 著․임대희 譯, 《중국의 역사-수당오대》, 혜안,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