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

 1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1
 2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2
 3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3
 4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4
 5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5
 6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6
 7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7
 8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8
 9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9
 10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10
 11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예술의이해] 변강쇠가를 통한 판소리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판소리 개괄

1. 판소리의 정의

2. 판소리의 성격

3. 판소리의 기원

4. 판소리 사설의 형식과 내용

II. 변강쇠타령(가루지기타령)

1. 줄거리

2. 변강쇠타령의 부분별 해석

3. 변강쇠타령이 지니는 주제의식

III. 결 론
본문내용
(1) 분포지역의 동일성

판소리와 판소리 창자의 분포지역이 무가의 시나위권과 일치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무가나 민요는 크게 세 권역으로 나누어지는데, 시나위권이란 경기도 남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서부 지역을 가리킨다. 특히 이 지역을 시나위권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지역의 무당들이 굿을 할 때 연주하는 음악을 시나위라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동안 배출된 판소리 명창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이 이 지역 출신이었다.

(2) 특성의 동일성

판소리의 여러 가지 특성이 이 지역의 무가와 같다는 점이다. 우선 판소리나 시나위권의 무가나 목 쉰 소리로 부른다. 물론 자세히 보면, 무가는 판소리에 비해 힘을 빼 넋두리하는 듯한 느낌이 강한 ‘어정목’이라는 목소리를 사용하고, 판소리는 무가에 비해 훨씬 힘이 더 들어가는 ‘패기성음’이라는 목소리를 사용하지만, 목 쉰 소리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또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춤과 같은 동작(발림)이 시나위권의 무당들이 추는 살풀이의 춤사위와 같은 양식으로 되어 있으며, 시나위권 무가의 장단이나 선율의 구성음이 판소리와 같다는 점도 중요한 요소이다.

(3) 판소리 명창의 출신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에서는 대체로 신내림에 의해 보통사람이 갑자기 무당이 되는 경우가 많은 데 비해, 시나위권의 무당은 집안 대대로 이어져 전문적인 훈련을 통해 무당이 되었는데, 판소리 소리꾼들은 ‘비가비’라고 부르는 극소수의 일반인 출신 창자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이 무당가계로부터 나왔으며, 또 집안 대대로 이어지는 성격이 강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판소리 소리꾼들의 세습은 곳곳에 유명한 판소리 가문을 형성하였다.
참고문헌
1. “우리 고전 우리 판소리”, 도서출판 한샘
2. “브리태니커 가을이야기 - 판소리의 내력과 생명력”, 한국브리태니커회사
3. “한국고전새제집”, 보고사
4. 이국자,「변강쇠가 해석시론」.『인문논총』15집, 전북대 인문과학연구소, 1981.
5. 국어국문학회, “판소리 연구”, 태학사
4.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 전문(성두본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