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

 1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1
 2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2
 3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3
 4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4
 5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5
 6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6
 7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7
 8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8
 9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중세사] 북위의 한화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부락해산과 사민정책
2. 국사사건과 한인사족
3. 효문제의 한화정책
4. 북위의 통일지향성
5. 북위의 균전제와 삼장제
6. 북위정권의 동서분렬과 한화정책의 모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진한 이래 만리장성을 사이에 두고 북방의 유목민족과 남방의 한민족간의 남북대립은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진․한 시대에는 흉노족이 활약하였으나, 위․진 남북조시대에는 흉노와 함께 새로의 5胡의 각축이 전개되었는데, 5胡란, 匈奴를 비롯한 鮮卑, 氐, 羌, 羯 등을 말한다. 이들 서북방민족은 후한 말 중국의 혼란과 삼국의 분립시대에 서서히 남하를 시작하여, 4세기초에 서진사회의 내분을 틈타 부족사회를 탈피하여 민족국가를 수립함과 아울러 일찍이 한민족이 경험하지 못한 胡漢體制를 이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胡漢時代가 출현하게 된 것인 이민족 세력의 침투에 의한 한민족 지배라는 새로운 역사적 전개에 기인하는 것이다. 남흉노의 劉淵에 의해 시작되는 5胡의 건국(304)은 그들이 더 이상 한민족과의 남북대립현상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中原에 들어와 漢民族과 공존상태 속에서 이민족 국가를 건설한 것이고, 5호가 주도권을 잡고 적극적으로 16국을 건설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호한체제는 5호 16국을 거치며 종족주의의 전개와 한민족간에 마치 물과 기름이 공존하는 체제를 이루지만, 북위의 한화정책을 정점으로 융합하기에 이른다.

Ⅱ. 본론
1. 部落解散과 徙民政策
1) 비수전의 대패 - 종족주의의 부활과 북위의 등장
비수전의 대패로 전진 부견이 지향했던 초종족적 보편원리의 실현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오호국가의 종족주의적 권력의 구성원리는 일시적으로 그들의 강점으로 작용될 수 도 있지만 여러 종족이 혼재하는 당시의 상황하에서는 종국적으로는 한계인 것만은 부정할 수 없다. 부견의 실패를 틈타 선비, 강 등 제족의 종족주의가 다시 되살아났고 이것에 의해 오호 후기정권들은 또한 명멸했다. 이 과정에서 태어난 북위정권은 오호제정권이 노정했던 강점과 한계점을 어떻게 적절히 국정에 반영할 것인가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고 이것이 적극적인 의미에서의 효문제의 한화정책으로 이어지게 된다.
2) 부락해산
북위국가가 오호제국가와 현저히 다른점은 건국 당초부터 오호제국가의 중추인 동시에 한계였던 부족제도의 탈피였고, 이것이 바로 북위초에 행해진 ‘부락해산’ 조처였다고 보는 견해가 강하였다. 즉 북위 건국자인 太祖 道武帝
참고문헌
中國中世胡漢體制硏究, 朴漢濟, 1988, 일조각
胡漢體制의 展開와 그 構造, 朴漢濟,〈講座 中國史 Ⅱ〉, 1989, 지식산업사
北魏의 對外政策과 胡漢體制 : 統一體制指向과 관련하여, 朴漢濟, 1987
東洋史槪論, 申採湜, 1993, 삼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