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

 1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1
 2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2
 3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3
 4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4
 5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5
 6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6
 7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7
 8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중세사]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후한말 도교의 형성
1) 제학(齊學)과 도교
2) ‘태평경(太平經)’과 후한 도교 운동의 전개
3) 태평도와 천사도(天師道)
3. 이가도(李家道)의 성립과 위진(魏晋) 도교
1) 한(漢), 육조(六朝) 시대 도교 전개의 한 양상
2) 갈홍고(葛洪考)
4. 남북조 시대의 이가도의 전개
1) 남북조 시대의 이홍(李弘) 신앙
2) 남북조 도교의 민중적 전개
5.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국가의 운영과 민중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영향을 미치는 종교의 흐름은 그 시대를 보는 하나의 창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후한말의 혼란의 상황에서 위진남북조로 이어지는 중국사의 혼돈의 시기를 도교를 통해 바라보는 것도 흥미 있는 일일 것이다. 우선 도교라는 종교에 대해서 짧게 요약 설명 해보겠다.
도교는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교조로 삼은 중국의 토착종교로, 노자와 장자(莊子)를 중심으로 한 도가(道家)사상과 구별된다. 도교는 후한(後漢)시대에 패국(沛國)의 풍읍(豊邑)에서 태어난 장도릉(張道陵)이 세웠다고 전하며, 지금도 타이완[臺灣] ․홍콩[香港] 등지에서 중국인 사회의 신앙이 되어 있다. 장도릉은 초기에 오경(五經)을 공부하다가 만년에 장생도(長生道)를 배우고 금단법(金丹法)을 터득한 뒤 곡명산(鵠鳴山)에 들어가 도서(道書) 24편을 짓고 신자를 모았다. 이때 그의 문하(門下)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모두 5두(斗)의 쌀을 바쳤기 때문에 오두미도(五斗米道) 또는 미적(米賊)이라고도 불렸다. 장도릉이 죽자 아들 형(衡)과 손자 노(魯)가 그의 도술을 이어 닦았다.
장도릉 등이 도교를 일으킨 초기에는 그 신도들이 대부분 어리석었던 탓으로 종교라기보다도 일종의 교비(敎匪)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도교가 일반 민중뿐만 아니라 상류 지식층 사이에도 널리 전파되자 체계적인 교리와 합리적인 학설 ․교양의 뒷받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필요에 따라 도교가 하나의 종교로서 이론체계를 갖추기 시작한 것은 3~4세기 무렵 위백양(魏伯陽)과 갈홍(葛洪)이 학술적인 기초를 제공하면서부터였다. 그리고 구겸지(寇謙之)가 전래 종교인 불교의 자극을 받아 그 의례(儀禮)의 측면을 대폭 채택하고 도교를 천사도(天師道)로 개칭함으로써 종교적인 교리와 조직이 비로소 정비되었다.
도교에서 받드는 신들은 매우 잡다(雜多)할 뿐 아니라 시대에 따라서 그것은 새로이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제사 지내는 신에는 원시천존(元始天尊) 또는 옥황상제(玉皇上帝)가 있고 이는 다시 무형천존(無形天尊) ․무시천존(無始天尊) ․범형천존(梵形天尊)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교조인 노자, 곧 노군(老君)도 원시천존의 화신(化身)이라고 믿는다. 그 밖에도 현천상제(玄天上帝:北極星) ․문창제군(文昌帝君) ․후토(后土) ․서낭신[城隍神] ․조군(君:五祠 중의 한 神) ․화합신(和合神) ․삼관(三官) ․재신(財神) ․개격신(開格神) ․
참고문헌
오상훈, 『중국도교사론1』, 이론과 실천, 1997
경희진 주해, 『중국도교사』, 성도, 1992
강서래, 『道敎 및 佛敎의 倫理的 思惟類型에 관한 硏究 : 魏晋南北朝時代를 中心으로』,동국대, 1998
윤찬원,『도교철학의 이해 : 태평경의 철학체계와 도교적 세계관』,돌베개, 1998
최혜영,『道敎와 民衆倫理思想의 硏究』,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