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

 1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1
 2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2
 3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3
 4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4
 5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5
 6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6
 7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7
 8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8
 9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9
 10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10
 11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11
 12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12
 13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종교사회학] 새로운 종교로서의 영성운동(참나안 명상원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 론
               
Ⅱ.참나안의 명상 입문과 수행방법
1)참나안의 명상 입문과정
2)참나안의 명상의 수행방법 
               
Ⅲ.참나안의 종교적 기능과 가능성
1)참나안의 종교적 기능
2)참나안의 또 다른 가능성
                
Ⅳ.결 론

본문내용
이 연구를 위해 우선은 참나안 명상원을 방문하여 그 곳을 들여다보고 그곳의 관계자 선자연(禪自然)원무님 선자연 원무는 참나안 명상원의 대표이다. 60대의 여성으로 체구는 작지만 카리스마가 느껴지는분으로 명상원과 갤러리 찰나의 실질적인 운영자이다. 이 연구의 대부분 자료며 근거는 이 분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을 만나고 인터뷰를 하는 것으로 부터 접근하여 들어갔다. 그러나 아직은 본인들의 정체성을 다 보여주기 꺼려하는 집단의 신비주의적 경향 혹은 폐쇄성으로 완전히 오픈된 상태는 아니었으므로 접근하는 본인도 보여주는 상대측도 그 정도를 조율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지금은 제주도 명상 수련 생들은 거의 접촉이 불가능한 상태고 수련생들은 대분은 외지에 적을 두고 필요시에만 이곳에 와서 수행하고 있다고 하였다. 수련생들은 미국에도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아마도 그것은 선자연 원무의 거주가 미국에서 이루어졌던 일신상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여기에서 논할 수 있는 부분은 참나안 명상원의 극히 일부분적인 부분에 대한 언급임을 거듭 강조하고 단지 본인이 경험했던 부분과 인터뷰의 내용에 근거하여 이 보고서를 작성할 수 밖에 없었던 사정을 얘기 할 수 밖에 없다.
 인터뷰와 만남은 크게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 졌다. 첫 번째 만남은 2007년 6월 6일 교수님을 비롯한 한국의 신종교 수업을 함께했던 몇몇 동료들과 함께하여 김종석 대표 참나안 명상원의 대표인 선자연 원무은 그를 메스터(master)라고 우리에게 소개했다.   
를 만나 그의 살아온 인생의 편력을 들을 수 있었고, 두 번째 만남은 6월 22일 갤러리 ‘찰나’에서 선자연원무님과의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마지막 만남은 6월24일 일요일 새벽 5시부터 11시까지 직접 명상을 체험해 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면서도 선자연 원무는 명상이란 몇 번의 체험으로 그 신비한 에너지를 느낄 수 없으며, 자신들의 단체가 학문적으로 접근되는 것에서는 긍정적이나 어떤 식으로 알려 줘야하는지  무척이나 난감해 했다. 도움을 주고자하는 명상원 측이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도 경험적 측면 만이 존재하는 실정에서 그 조율의 정도, 경계를 정하는 일이 무척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나안 명상원은 일정정도 종교적 현상으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하나의 영성운동임에는 분명하다고 보아졌다.     
참고문헌
시마노조 스스무 지음/박규태 옮김,『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청년사,1997.
브와그완 쉬리 라즈니쉬 지음/김석환 옮김,『영혼의 철학』,청하,1987.
슈리 푼자 지음/김병채 옮김,『무엇이 깨달음인가』,하남출판사,1998.
크리슈나무르티 지음/홍동선 옮김,『명상의 나무아래』,도서출판 책세상,1988.
이승헌,『힐링 소사이어티』,한문화멀티미디어,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