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

 1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1
 2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2
 3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3
 4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4
 5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5
 6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6
 7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7
 8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8
 9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9
 10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신보건]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질병부담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병율
1. 유병율의 의의
2. 외국과 한국의 유병율 비교
3. 한국의 유병율 변화 추세

Ⅲ. 사회와의 관계
1. 술에 너그러운 한국문화
2. 금연 관련 사회캠페인 활발
3. 외모지상주의 만연
4. 의식변화

Ⅳ. 질병부담
1. 외국과 한국의 질병부담 비교
2. 한국 질병부담의 문제점
-한국의 질병부담 보고서

Ⅴ.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역할
1. 국가의 개입을 통한 체계적인 방향 설정
2. 부담률의 순위에 따른 의료자원의 투입
3. 정신질환 이환자들의 정신과 전문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 06년 ,평생 동안 한 가지 이상의 정신질환을 경험한 인구의 비율인 정신질환 평생 유병율은 30%이며, 남자 38.2%, 여자 21.7%로서 남자가 여자보다 1.8배 더 많았다.

- 06년 정신질환 평생 유병율은 30%로서 '01년 30.9%에서 0.9%p 감소, 일 년 유병율은 19.0%에서 17.1%로 1.9%p 감소하였다.


- 주요 정신질환별 평생 유병율을 보면, 알코올 사용 장애가 16.2%, 니코틴 사용 장애가 9.0%, 불안장애가 6.4%, 기분장애 6.2% (주요우울장애 5.6%), 정신병적장애가 0.5%로 나타났다.
- 주요우울장애의 평생 유병율이 ‘01년 4.0%에서 5.6%로 증가하였고, 일 년 유병율도 1.8%에서 2.5%로 0.7%p 증가하였다.
- 남성과 여성 모두 증가하였으며, 여성에 비하여 남성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고, 알코올 사용 장애와 니코틴 의존은 다소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 특히, 알코올 사용 장애의 위험요인은 남자, 이혼/별거/사별, 미혼, 12년 이하의 교육수준 순이고, 주요우울장애 위험요인은 여자, 이혼/별거/사별, 미혼, 학생/주부, 낮은 소득 순으로 나타났다.

Ⅲ. 사회와의 관계
1.술에 너그러운 한국문화
우리나라 사람은 서양 사람들과 달리 유전적으로 알코올대사 효소가 적어 체질적으로 술에 약하게 생겨났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주위에 과음하는 사람들과 알코올중독도 많은데 원인을 찾아본다면 이는 사회문화적 요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술을 못하는 사람들은 친목, 사업 등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고 그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못 마시는 술도 억지로 먹을 수밖에 없는 사회적인 분위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알코올을 남용하거나 알코올에 의지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많은 것 같다. 게다가 술에 대하여 허용적이고 술로 인한 실수에 너그러운 우리 문화의 탓도 한 몫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 개인으로 볼 때 자주 독립적이라기보다는 의존적 타율적 경향이 많고, 이러한 성향을 착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알코올에 유난히 의존하는 경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2.금연 관련 사회캠페인 활발
선진국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담뱃값, 국내의 상황을 보면 아직까지 흡연에 대해 관대한 사회적 분
참고문헌
WHO자료
한국갤럽자료
네이버오픈사전
보건복지부(2002) 우리나라 정신질환 이환실태.(국립정신병원조사결과)
보건복지부(2006)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실시계획
보건복지부(2006)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요약보고서
이봉건 역(1999) 중 이상행동의 분류 및 진단.
예방의학회지(2006)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 추정(제39권 제1호)
김기태 외, 정신보건복지론
안향림 외 공저, 보사부 담당관, 정신보건법의 제정과 정책방향, 정신보건 사회복지
원석조,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05
정원철, 정신보건 사회사업론, 학문사, 2000
정신분열병의 정신사회재활효과, 정신보건 제 2권 1호, 한국정신사회재활협회, 1997
정부안 정신보건법, 1993
Test, M. A.(1984), Community Support programs. In A. S. Bellack(Ed.), Schizophrenia treatment,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pp. 347-373). Orlando, FL:Grune & Stratton.
Anthony, W, Cohen, M, Farkas, M.(1997), Psychiatric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