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

 1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
 2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2
 3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3
 4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4
 5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5
 6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6
 7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7
 8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8
 9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9
 10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0
 11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1
 12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2
 13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3
 14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4
 15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5
 16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6
 17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론] 차범석의 `불모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1. 작가 소개
2. 차범석과 리얼리즘

Ⅱ. 작품 분석
1. 개관
2. 줄거리와 구성 3. 등장인물
4. 어법 5. 소리
6. 장관 7. 사상
8. 제목과 작품의 연관성
9. 와 리얼리즘
10. 연구문제

Ⅲ.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차범석과 리얼리즘

차범석은 철저한 리얼리즘의 신봉자이고 정통적인 사실주의 극작가이다. 그는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라는 논설에서 “보다 절실하게, 그리고 보다 철저하게 리얼리즘을 신봉하고 싶고 그것을 구현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 지 오래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리얼리즘을 희곡 창작의 정신과 방법으로 삼고 있다는 자신의 입장을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서사극이나 부조리극과 같은 비사실주의 적인 기법의 실험에 대해 “전후에 밀려든 새로운 풍조에 휩쓸리는 호사취미”라고 단정하고, “리얼리즘 연극의 수립부터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현대한국문학전집9》, 차범석, 신구문화사, 1966. 참조

그런 점에서 차범석이 생각하는 리얼리즘 정신은 무엇인가가 의문의 첫머리로 떠오른다. 차범석은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서 다음과 같은 견해를 밝히고 있다.

우리는 무엇을 쓸 것인가? 두 말할 나위도 없이 현실을 비추어 주는 거울을 만들어야 한다. 우리가 겪은 역사적인 현실, 그리고 일상생활 주변에서 물거품처럼 떠올랐다가는 사라져 가는 수많은 일들… 우리 주변에 작품의 소재는 거의 무진장으로 산재해 있다. 2)의 책, p. 198


차범석의 이러한 견해는 창작의 목표를 ‘현실의 재현 또는 반영’에 두면서 그러한 행위를 거울에 비유하는 19세기 이래의 소박한 재현이론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범석의 사실주의는 소재 및 표현의 문제에만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오독될 소지도 없지 않다. 그러나 차범석의 사실주의 문학관은 단순히 소재나 표현의 문제만도 아니며 단순한 재현 이론에 머물러 있는 것도 아니다.

우리가 겪은 그 절실한 문제에 대해서 외면하는 버릇은 언제부터 몸에 지니게 된 습성일까? 전쟁의 포연이 휩쓸고 간 들판, 그 헐벗은 상처투성이의 폐허에서 생긴 일, 그리고 서울의 지붕 밑이건 박 덩굴이 영글어 있는 초가집이건 거기에는 한국의 슬픈 얘기며 흐뭇한 인정의 샘이 있는데도 그것을 파헤치기를 촌스럽게만 여기는 자만심은 도대체 어디서 생긴 버릇일까? 2)의 책, p. 497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차범석의 리얼리즘은 전쟁으로 인해 황폐해진 한국의 현실과 그 곳에서의 인간의 삶을 말해야 한다는 책무에서 생겨난 신념이었다. 한국 연극의 침체를 극복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책도 리얼리즘에서 찾을 만큼, 차범석은 리얼리즘을 하나의 세계관으로 신봉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 많은 소재를 어떻게 특이하게 그리고 어떻게 성격적으로 다룰 것인가에 대해서 부심”한다는 입장을 보임으로써, 차범석의 리얼리즘론은 현실의 정확한 재생이 아닌 ‘현실의 의도적인 재구성’이라는 입장을 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차범석의 리얼리즘관이 현실을 비판하면서 잠재적인 현실을 구현하는 ‘비판적 리얼리즘’을 지향하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차범석이 자신의 세계관으로 인식하고 있는 리얼리즘 연극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연극을 말하는 것인가. 다음과 같은 입장을 우선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네이버백과사전
《우리연극 100년》, 서연호 이상우, 현암사, 2000
《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 2》, 한국극예술협회, 월인, 1999
《한국대표희곡강론》, 서연호 외, 현대문학, 1993
《차범석 희곡 연구》, 무천극예술학회, 국학자료원, 2003
《한국현대극작가연구》, 이미원, 연극과 인간, 2003
《한국 희곡과 연극운동》, 정호순, 연극과 인간, 2003
《현대한국문학전집9》, , 차범석, 신구문화사, 1966
《동시대의 연극인식》, 차범석, 범우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