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

 1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
 2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2
 3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3
 4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4
 5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5
 6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6
 7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7
 8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8
 9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9
 10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0
 11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1
 12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2
 13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3
 14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4
 15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5
 16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6
 17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7
 18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8
 19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19
 20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디어효과] 애니메이션 수용형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1. 연구의 이론적 배경

2. 연구문제 및 가설


Ⅲ. Methods


Ⅳ. Results Analysis

1. Survey Results

2. Interview results


Ⅴ. Discussion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Introduction

지난 2010년 1월. 모 케이블 방송의 한 프로그램인 `화성인 바이러스`에서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와 사랑에 빠진(?) 20대 초반의 한 청년이 소개 되었다. 이 청년은 인터넷상에서 `십덕후`라는 별명으로 불리 우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을 광적으로 좋아하는 매니아를 지칭하는 일본어인 오타쿠 보다도 더 월등 하다는 뜻에서 십(10)덕후 라고 한다. 이 청년은 모 일본 애니메이션 속의 한 여성 캐릭터인 `페이트`에게 진심으로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낀 나머지, 그 캐릭터에 대한 모든 물품에 대한 수집은 물론 `페이트`의 전신 그림이 담긴 커다란 베개를 들고 길거리를 누비며 당당히 데이트를 즐기고, 심지어 최근엔 실제로 결혼식을 올렸다고 한다.

이 청년이 프로그램에 등장해서 대화를 이끌어 나가는 방송 내내 이경규와 김구라등의 MC들은 물론 이 청년에 대한 일반인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경악 그 자체였다. 길거리에서 페이트가 그려진 베개를 끌어안고 데이트를 즐기는 십덕후를 본 사람들의 반응은 경악스럽다 못해 혐오감을 느끼는 듯하다. 십덕후 본인은 당당한 듯 행동을 하지만 그를 보는 일반인들의 시선은 신기한 생물을 보는 듯, 불쌍하다는 듯,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듯, 또는 조롱하는 듯 한 반응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해외 언론에도 소개 된 십덕후

‘화성인 바이러스’ 십덕후 편이 방송 되고 이 청년에 대한 수많은 뉴스 기사들이 앞다투어 쏟아져 나왔다. 국내 뉴스는 물론 해외 언론에서도 ‘베개와 결혼한 남자’라는 제목으로 이 청년을 소개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반응 또한 영상 속 일반인들이 보인 반응과 별반 다르지 않은, 강한 거부감을 보이기도 하고 심지어 국가적 망신으로 치부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 도저히 이해 할 수 없는 이 청년의 등장으로 인해 이제 가상 속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애니메이션 과몰입자들에 대해 단순히 그들만의 문화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이들로 하여금 현실 속 세상이 아닌 애니메이션 속에 빠져 살게 하는지 즉, 애니메이션 과몰입의 동기는 무엇이며 또한 과몰입에 빠져드는 사람들은 어떠한 공통적인 특성을 보이고, 애니메이션과 애니메이션 과몰입자들의 사회적 영향력 등 이러한 사람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임기욱 (2003). 『가상현실과 VRML』 - 정일

로돌프즐랭 (2007). 『가상현실이 어떻게 가능할까?』 - 민음IN

권상희 (2004). 『디지털시대 미디어 임팩트』서울: 청문각

피에르 레비 (2002). 『디지털시대의 가상현실』 - 궁리출판

이택광 (2008). 『세계를 뒤흔든 미래주의 선언』 - 그린비

르네웰렉 (1997). 『문하와 아방가르드』 - 열린책들

오카타 토시오 (2000). 『오타쿠 - 애니메이션 게임영화에 미친 놈들』 - 현실과 미래사

윤상인 (2006). 『일본문화의 힘 - 세계는 왜 J컬쳐에 열광 하는가』 - 동아시아

제인 필링 (2003). 『21세기 애니메이션 혁명가들 - 2D 애니메이션의 시대를 넘어』 - 한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