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

 1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
 2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2
 3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3
 4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4
 5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5
 6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6
 7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7
 8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8
 9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9
 10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0
 11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1
 12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2
 13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3
 14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4
 15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5
 16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6
 17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7
 18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8
 19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19
 20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경제론] 영국과 미국노사관계(단체교섭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영국의 노사관계
1.노사관계자
2.단체교섭
3.정부의 역할
Ⅱ.미국의 노사관계
1.역사적,경제적,정치적 환경
2.미국노사관계의 성격
3.노사관계의 환경
4.노사관계의 주요당사자
5.노사관계주요과정(특징)
6.현재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
Ⅲ.영․미노사관계의 비교
1.노동조합
2.사용자와 사용자 단체
3.정부
4.단체교섭
5.영․미노사관계 비교
Ⅳ.맺음말(우리나라 노사관계에 대한 전망)
본문내용
Ⅰ.영국의 노사관계


1.노사관계자

(1)노동조합

-영국의 많은 노동조합의 기원은 19세기 중반이나 그이전에 생겼다.
-최초의 노조는 숙련직공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반숙련, 미숙련의 육체노동자는 19세기 후반에야 노조를 결성하게 되었다. 일부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후에야 노조에 가입하게 되었다.
-영국노조는 직종별 노동조합, 일반노동조합, 산업별노동조합, 화이트칼라노동조합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노동조합이 한범주 이상의 다른 범주의 노동자도 조합원으로 가입시킴으로써 점차 희미해 지고 있다.
-영국의 노동조합수는 1920년 1,384개에서 1990년에 323개로 급격히 감소하였다(certification office, 1991). 23개의 대규모 노동조합이 전체조합원수의 81%이상을 차지하고 있다(Employment Gazette, 1990, p.259).
-많은 산업에서 복수노동조합(multi-unionism)이라는 보잡한구조가 존재하며, WIRS에 의하면 노조가 조직되어 있는 사업장중 53%가 평균2.5개의 노동조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ill ward et al., 1992).
-노조는 비정형화된 방식으로 상이한 직종별 및 산업별 조직을 동시에 포함하여 통합하므로써 노동조합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한 사업장에서 몇개의 노동조합과 교섭할 수 도 있다.
-영국은 대부분 유럽국가와 달리 하나의 전국중앙조직 TUC(노동조합회의)를 가지고 있다. 1991년 현재 영국조합원 총수의 84%를 대표하는 74개의 노동조합이 TUC에 가입해 있다. 다른 국가의 전국중앙조직과 달리 단체교섭에 직접참여하지 않으며 파업도 실행할 수 없다. 다만 노동조합간의 관계를 규율하고 주요노사분규를 조정하고 노동조합 간부를 교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1906년 노동당을 결성하고 노동조합이 정당재정의 80%를 부담하고 있으며 대부분 조합간부들이 노동당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
Greg J. Bamber and Russell D. Lansbury ,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Employment Relations
Richard Edwards, Paolo Garonna, Franz Todtling, Unions in crisis and beyond
Paula B. Voos, Contemporary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Private Sector
Changing Industrial Relations in Europe, Anthony Ferner And Rechard Hyman
Paul Edwards, Industrial Relations
Lloyd G., Reynolds, Labor Relations역 (노사관계론,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1988)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미국의 노동운동사 , 무역경영사, 1983
이병남, 미국의 신노동정책 -고성능 작업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전략과 혁신적 노사관계정책, 한국노사관계학회, 1994
김금수․조한천역, 노동조합과 산업관계, 새얼장학회, 1983
김황조, 세계각국의 노사관계, 세경사, 199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