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

 1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1
 2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2
 3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3
 4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4
 5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5
 6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6
 7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7
 8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8
 9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9
 10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10
 11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현실주의 작품 속에 등장한 몸의 변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초현실주의의 태동배경
1. 역사적 상황
2. 사상, 문학, 예술적 배경

Ⅲ. 변형된 몸
1. 통합-탈 경계화로써의 기호로서의 몸
2. 이성으로부터의 해방- 욕망의 표출
3. 왜몸인가

Ⅳ. 나가는 글
본문내용
Ⅱ. 초현실주의의 태동 배경
1.역사적 상황
1914년에 일어난 제 1차 세계대전은 1880년에서부터 약 30여 년간 지속된 유럽 문명의 전성기가 일순간에 추락한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때문에 1918년 제 1차 세계대전이 종식되었을 때, 유럽의 지성인들은 전쟁과 함께 한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심각한 변화가 일어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거센 몸부림이 구체적인 형태를 띠고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사회적으로는 전통적인 부르주아 집단과 함께 서구 사회를 지배해온 기독교 문화, 자본주의 사회가 동시에 공격을 받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유럽의 지성인들은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에 진지한 관심을 기울이고, 그 중 소수의 급진파들은 레프 다비도비치 트로츠키Лев Дави́дович Тро́цкий와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Влади́мир Ильи́ч Ле́нин의 사상에 적극 동조하기도 한다. 그들은 부르주아의 안이한 순응주의와 서구 사회의 기존 제도들이 내포하고 있는 모순을 개혁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혁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그런 시각에서 1917년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이 당시의 급진적 지성인들에게는 사회 개혁의 한 해결책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상대성 이론, 앙리루이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의 창조적 진화의 철학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방법을 제시하였고, 전선에서 살아남은 자들에게서 발견되는 전쟁의 상처로 인한 외상성 신경증은 정신분석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전후에 발생한 정신질환 때문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죽음 본능”이라는 개념을 도입했고, 이어서 이드, 자아, 초자아 간의 발병적인 갈등들에 초점을 맞추는 정신분석학의 지형도를 확립하게 되었다. 이후 수년 동안 프로이트는 사회적 과정에서 무의식적 기제들이 담당하는 역할에 점점 더 관심을 보였다. 이렇듯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전통적인 인간학에 일대 변혁을 가져온다. 잠재의식의 세계를 밝히는 심층심리학, 꿈의 해석, 토템Totem과 터부 Tabou 등 프로이트의 연구는 심리학은 물론이고 예술•종교•도덕•문화 등 모든 영역에 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문학에서는 이미 1차 대전 이전부터 과거의 소재와 형식을 버리고 현대 세계에 부합하는 미적 요소를 발견해 내려는 모더니즘과 ‘자아’를 탐구하는 지적 모험들이 전개되고 있었다. 이 탐구의 문학은 기존의 질서 제시하는 것이 아닌 ‘미지의 것’, ‘자아의 진정한 모습’을 탐색하는 과정, 그 자체에 역점을 두었다. 모더니즘은 19세기 샤를-피에르 보들레르Charles-Pierre Baudelaire에게서 이미 태동했다고 볼 수 있으나, 아폴리네르Apolllinaire에 이르러 형식과 내용 양면에서 탐색되고 구체화된다. ‘상형시’라는 새로운 형식을 시도한 그는 「새 정신 Esprit Nouveaud이라는 글에서 “진실은 숭고함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성 속에 내재해 있으며, 경이(驚異)」야말로 모든 예술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설파하여 이후 다다와 초현실주의에 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전쟁 중인 1916년, 취리히Zürich에 모인 젊은 예술가들에 의해 시작된 다다 운동은 전통적인 모든 가치체계를 거부하고, 부르주아 문화에 대한 전면적인 파괴와 문학과 예술의 역할에 대한 회의를 표명하고 나선다. 국경을 초월하는 이 반조형적인 운동의 전복 정신은 초현실주의 회화와 문학을 고취시켰으며, 두 차례의 세계대전이 일어나는 사이에 널리 퍼짐으로써, 이는 인간의 무의식을 선동한다고 생각되는 어두운 힘에 관한 드높은 관심으로 이어졌다.

2. 사상, 문학 예술적 배경
19세기말과 20세기 초에는,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일어난 혼란에서 벗어나 인위적이고 비인간적인 전통으로 가득 찬 과거와 단절하고 새롭고 진정한 예술을 통해 유토피아로 나아가고자 하는 급진적이고 진보적인 아방가르드Avant-garde 미술운동이 전개된다. 아방가르드 미술 중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운동은 1차 세계대전 이후 생겨난 반전의식과 기존의 관습과 미학을 부정하는 반反 예술을 토대로 출발했다. 그러나 다다이즘이 합리주의의 산물인 모든 체제와 가치관을 부정하다가 스스로까지 부정하는 자기 모순에 빠져 끝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면 초현실주의는 다다이즘의 허무주의적인 태도에서 한발 더 나아가 암울한 시대의 대안으로써 유기체적인 세계관을 토대로 원초적 의식의 근원으로 돌아갈 것을 제시한다. 초현실주의자들에게 꿈, 욕망, 무의식의 세계는 정신에 억압되어 있는 인간을 해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안고 있는 길이자, 그들이 추구하는 진실, 즉 꿈과 현실이 공존하는 상상의 세계에 가까워지는 방법이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그들이 추구했던 리얼리티로 향하기 위한 디딤돌로서 20세기를 풍미했던 사상과 당대의 문학들을 검토하고 재인식하기 시작한다. 그들은 미지의 세계를 발견하기 위한 가능성을 신비주의로부
참고문헌
단행본
노버트 린튼, 『20세기의 미술』, 윤난지 역, 서울: 예경, 1993
로버트 휴즈,『달리 400선』, 박누리 역, 서울: 마로니에 북스, 2008
로베르 르벨, 『초현실주의2』, 김정란 역, 열화당, 1992
린다노클린,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정연심 역, 서울: 조형교육, 2001
마르셀 파케,『르네 마그리트』, 김영선 역,서울: 마로니에 북스, 2008
만프레드 하이팅,『만 레이』, 안규철 역, 서울: 아트 앤 북스, 2003
메슈게일, 『다다와 초현실주의』, 오진경 역, 서울:한길아트, 2001
수지 개블릭, 『르네 마그리트』, 천수원 역, 서울: 시공사, 2006
신현숙, 『초현실주의』, 서울: 동아출판사, 1992
요하임 나겔,『초현실주의』, 황종민 역, 서울: 미술문화, 2008
이본느 뒤플레시스, 『초현실주의』, 조한경 역, 서울: 탐구당, 1993
장 루이 가유맹, 『달리, 위대한 초현실주의자』, 서울: 시공사, 2006
조윤경,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8
지그문트 프로이트,『문명속의 불안』, 김석희 역, 서울: 열린책들, 2009
질 네레, 『살바도르 달리』, 정진아 역, 서울: 마로니에 북스, 2005
질 들뢰르,『베르그송 주의』, 김재인 역, 문지스펙트럼, 1993
카트린 클링죄어 르루아, 『초현실주의』, 김영선 역, 서울: 마로니에 북스, 2008
피오나 브래들리,『초현실주의』, 서울: 열화당, 2003
한림미술관, 『몸과 미술-새로운 미술사의 시각』,이대기호학연구소, 이대출판부, 1999년

학술지 및 간행물

고충환, “미술과 몸”, 「월간 문화예술」, 통권 249호, 진흥원발행, 2000
김승환, 미술사와 혼성성 혹은 이질적인 것”,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제 24집, 서양미술사학회, 2005
조윤경, ”신체 분리의 욕망과 존재의 타자화: 데스노스와 이상의 시를 중심으로”, 「비교문학」 제 31집, 한국비교문학회,2003

학위논문
김륜아 「신체 이미지로 재구성된 관계- 신체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