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

 1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1
 2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2
 3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3
 4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4
 5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5
 6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6
 7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7
 8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8
 9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9
 10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10
 11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11
 12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12
 13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13
 14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제학사] 구후생경제학과 신후생경제학의 비교 -피구를 중심으로 본 구후생학파와 칼도, 파레토, 힉스 등으로 본 신후생학파의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후 생 경 제 학 의 정 의 및 학 자



신후생경제학파(칼도, 힉스, 파레토)



구후생경제학 신후생경제학 비교



후 생 경 제 와 복 지







결 론







참고문헌
추가수정부분


본문내용
Ⅲ. 신후생경제학파 - 칼도, 힉스, 파레토
후생경제학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다시 반박하고 객관적인 후생경제학체계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사무엘슨(P.A. Samuelson)의 분류에 의하면 ‘신후생경제학파’의 학자들로서 그 대표자로는 칼도(N. Kaldor)와 힉스 등을 들 수 있다. 칼도와 힉스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우선 칼도는 헝가리 태생의 영국 경제학자로서 연구초기에 주로 신고전파의 균형이론과 후생경제학의 발전에 기여하다가, 후에는 케인즈의 영향을 받아 그의 관심은 거시경제학의 여러 문제들로 옮겨갔고, 케인즈 경제학의 전통에서 신고전학파를 비판하는 입장에 서게 된다. 또한 2차 세계대전을 목격하면서 경제정책의 실제적인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두게 된다. 칼도는 성장이론과 분배이론뿐만 아니라 화폐이론, 후생경제이론, 국제무역이론 등 다른 경제이론 분야의 발전에도 중요한 공헌을 한다. 칼도는 많은 개혁정책을 제안하기도 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조세개혁이다. 그는 소득분배의 개선뿐만 아니라 생산과 지출의 구조를 바꾸기 위한 가장 유용한 정책으로서 조세개혁에 주목했다. 사회구성원의 공정한 조세부담을 위해 그는 ‘지출세(expenditure tax) 지출지수: 각 상품묶음에 상대적으로 얼마나 더 많이 지출했는가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비교연도의 지출을 기준연도의 지출로 나누어준 지출지수를 M=P₂·Q₂/P₁·Q₁
-임봉욱(2009), 예제와 함께하는 미시경제학 ,p.120
’를 제안하고, 실제 이 정책은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시행된다. 일생에 거쳐 경제학의 발전에 수많은 업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칼도는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영국의 The Economist紙는 그를 ‘노벨상을 받지 못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경제학자’라고 칭했다. http://cafe.naver.com/distribtiongrowth/288
http://t.web.umkc.edu/tjh9b/pk/economists/kaldor.html

다음으로 1972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영국의 이론경제학자 힉스는 가치이론과 수요이론, 분배이론은 물론 후생경제학, 게다가 자사선택, 경기순환, 경제성장 등의 제이론, 사회계정, 국제경제학, 그리고 최근에는 경제사에 있어서의 발전단계설에 이르기까지 극히 폭이 넓다. 그러나 그의 대표적인 최대걸작『가치와 자본』(Value and Capital, 1939)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균형이론 모든 시장이 경쟁 시장이고 다음 조건이 만족되면 일반균형이 이루어진다.
① 주어진 가격과 소득 하에서 소비자들은 효용극대화를 위해 재화의 수요량과 생산요소의 공급량을 결정한다.
② 주어진 가격 하에서 기업들은 이윤극대화를 위해 재화의 공급량과 생산요소의 수요량을 결정한다.
③ 주어진 가격 하에서 모든 시장의 공급량과 수요량이 일치한다. 일반균형은 일반경쟁균형이라고도 하며, 왈라스균형이라고도 한다.
-김동일(2009), 미시경제학, p.241
의 공헌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