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

 1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
 2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2
 3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3
 4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4
 5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5
 6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6
 7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7
 8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8
 9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9
 10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0
 11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1
 12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2
 13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3
 14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4
 15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5
 16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6
 17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세사]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학풍과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규경은 누구인가

2. 이규경의 학문형성 배경

1) 가학(家學)의 전통

2) 교우관계

3) 시대 분위기

3. 불교관과 도교관

4. 대외관

1) 19세기 대외인식의 경향

2) 서양 인식

3) 천주교 인식

5. 역사인식

1) 삼국사기와 고려사 비판

2) 국호에 대한 관심

3) 시대사에 대한 인식

4) 외국 역사에 대한 관심

5) 생활사에 대한 관심

6) 발해사에 대한 적극적 인식

6. 사회경제사상

1) 농업관

2) 개국통상론

7.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이규경의 학문형성 배경
1) 가학(家學)의 전통
이규경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의 집안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의 조부인 이덕무와 아버지 이광규는 모두 규장각 검서관을 지낸 중인 신분의 인물이기 때문이다. 신병주, 『조선중,후기 지성사 연구』, 새문사, 2007, p.315
아마 오늘날에는 이규경보다 그의 조부 이덕무(李德懋)의 이름이 더 널리 알려져 있을 것이다. 그의 조부 이덕무는 젊어서 박제가(朴齊家) ·유득공(柳得恭) ·이서구(李書九)와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일찍 문명을 날렸고, 이것이 청나라에까지 전해져서 이른바 사가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으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1779년에 정조(正祖)가 규장각(奎章閣)을 설치하여 문장에 뛰어난 학자들을 외각검서관(檢書官)으로 등용했을 때 박제가 ·유득공 ·서이수와 함께 이덕무는 수위(首位)로 뽑혀 임용되었다. 그는 검서관뿐만 아니라 외직에도 나가서 사도시주부(司䆃寺主簿), 사근도찰방(沙斤道察訪), 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 적성 현감(積城縣監) 등을 거쳤으며, 1791년에는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가 되는 등, 중인이라는 신분에 굴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그의 능력을 발휘하였다. 그가 북학파 실학자인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유득공, 서이수 등과 친밀하게 지냈다는 점은 이규경 집안의 학문 분위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추측 가능하게 해준다.
이규경의 아버지인 이광규 또한 검서관에 등용되어 오랫동안 규장각에서 일하였다. 즉, 가학(家學)의 전통이 이규경으로 하여금 학문에 눈뜨게 만들었고, 특히 그가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조부 이덕무의 저서인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를 많이 인용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특히 조부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라 본다.


2) 교우관계 신병주, 『조선중,후기 지성사 연구』제7장 中 「2.생애와 교우관계」 참조

이규경은 최한기(崔漢綺), 김정호(金正浩), 최성환(崔瑆煥)등의 중인과의 교우관계가 각별했으며, 서유구(徐有榘)·유비(有棐)형제와도 교류가 있었다.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서구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와 통상개방론을 주장한 인물로, 조선의 개화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외국과의 대등한 교류를 주장하는 등 실학파 학자들의 전통을 계승하여, 뒤이
참고문헌
신병주, 「19세기 중엽 李圭景의 學風과 思想」, 『한국학보』75, 일지사, 1994
윤사순, 「李圭景 實學에 있어서의 傳統思想」, 『아세아연구』16,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원재연, 「五洲 李圭景의 對外觀과 天主敎 朝鮮傳來史 認識」, 『교회사연구』제17집, 한국교회사연구소, 2001
원재연, 「조선시대 학자들의 서양인식」, 『대구사학』제73집, 대구사학회, 2003
원유한, 「五洲 李圭景의 商業論」, 『실학사상연구』제3집, 무악실학회, 199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