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

 1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1
 2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2
 3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3
 4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4
 5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5
 6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6
 7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7
 8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8
 9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9
 10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10
 11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11
 12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12
 13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환경문제] 유해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유해 조류 관련 사례와 대응방안
1. 유해 조수 개념 정리
2. 유해 조류 관련 대표 사례
(1) 한전의 까치와의 전쟁
(2) 한강변 비둘기 급증
(3) 철원 재두루미 월동지
(4) 농촌에서 백로는 유해조수
3. 사례를 통해 알아볼 수 있는 문제점
(1) 한국전력이 까치와 겪는 문제
(2) 도심의 비둘기 문제
(3) 철원의 철새 문제
(4) 백로와 황조롱이
(5)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
4. 현재의 유해 조류에 관한 해결책
(1) 현재 사용되는 해결방법
(2) 적용사례
III. 유해 조류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
1. 시간과 공간
2. 위험과 불확실성
3. 가치와 행동
IV. 마치며
본문내용
I. 서론

과거 우리 부모님 세대들이 가장 싫어하던 동물은 단연 쥐와 뱀이었다. 주택가에서 상주하거나 혹은 자주 출몰하는 쥐와 뱀은 어린 아이들에게는 공포의 상징이었으며, 어른들에게도 한없이 귀찮고 지저분한 존재였다. 그렇다면 요즘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동물은 무엇일까? 한 통계기관의 리서치에 따르면, 과반수가 넘는 지지를 바탕으로 우리의 비둘기가 당당히 1위를 차지하였으며, 2위는 놀랍게도 우리나라의 상징 동물 중 하나인 까치가 차지했다. 이 조사는 주로 도심, 특히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시골에서는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흔히 ‘상이군인’, ‘닭둘기’라 불리며 온 나라를 뒤덮고 있는 비둘기는 특히 도심 사람들에게 그야말로 불결과 미관 흐리기의 대명사가 되어있다. 이 비둘기들은 ‘상이군인’이라는 별명처럼 발이나 부리, 눈 등이 온전히 붙어있는 개체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하나같이 상처 입은 흉측한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닭둘기’라는 별명처럼 도대체 날아갈 줄을 모른다. 하늘을 날아가는 고귀한 모습은 간데없고, 외발로 뛰어 다니거나 짝짝이인 다리로 절룩거리며 걸어 다니느라 바쁘다. 차도에서 승용차와 맞닥뜨려도 날기는커녕 뛰어서 피하다가 황천행 혹은 운이 좋으면 흉터를 하나 더 얻고 간다.
까치의 경우는 미관상 조금 나을지는 몰라도, 하는 짓은 비둘기와 크게 다를 바 없다. 비둘기보다 머리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까치는, 비둘기처럼 사람들이 던져주거나 흘린 것들만을 먹는 것이 아니라 먹이를 스스로 찾아내는 방법을 개척해 냈다는 데에서 문제가 심각해진다. 그 방법이란 바로 쓰레기를 담은 채 거리에 쌓여 있는 종량제 봉투의 아래 부분을 부리로 찢어서 그 안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뽑아먹는 것이다. 물론 식사 후 뒤처리를 할 리가 없다. 굳이 뒤처리라고 한다면 배가 부른 채 하늘을 날다가 자동차나 사람들에게 분비물을 투하하는 정도다.
도심지의 무법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들의 행패를 보고 있으면, 우리의 토종 종에게 피해를 끼치고 먹이 사슬을 파괴하는 해외유입 종을 멸하자는 등의 조금은 문화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목적은 뒷전이고, 해외유입 종이든 우리의 토종 종이든 간에 과연 종이라는 것이 무조건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의문조차 들게 된다. 우리 생태계의 보호는 둘째 치고 당장 우리 인간들이 입고 있는 피해가 피부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사례들에 대한 환경학적 분석을 토대로,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II. 유해 조류 관련 사례와 대응방안


1. 유해 조수 개념 정리

유해 조수란, 인명이나 가축·가금·항공기와 건조물 또는 농업·임업·수산업 등에 피해를 주는 조수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지정·고시하는 조수를 말한다 조수보호및수렵에관한법률 제2조 제2호
. 산림청장이 특정 조수
참고문헌
두산 세계 대백과사전 Encyber
법고을 LX 4.1

유해조수 잡지 http://www.mille-korea.com/mag/200205/1.html
녹색전쟁 http://www.greenwar.co.kr
서울시청 http://www.metro.seoul.kr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문화일보 http://www.munhwa.co.kr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중앙일보 http://www.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