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

 1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
 2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2
 3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3
 4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4
 5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5
 6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6
 7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7
 8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8
 9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9
 10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0
 11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1
 12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2
 13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3
 14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4
 15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5
 16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6
 17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7
 18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8
 19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19
 20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정학적으로 본 중동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중동전쟁과 대립자

1 유대: 시오니즘

2 이슬람: 아랍 민족주의

3 기독교: 자본주의적 민주주의





Ⅲ.중동 전쟁의 발생배경 및 전개과정

1. 1차 중동전쟁

2. 2차 중동전쟁

3. 3차 중동전쟁





Ⅳ. 중동전쟁의 지정학적 분석

1. 당사국의 이익

2. 민족적 대립



Ⅴ. 결론



본문내용
2) 세계1차 대전 전-후의 아랍민족-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는(종교적)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아랍인의 정치적 독립과 단결의 필요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아랍 족과 터키족은 400년간 비 민족 국가인 오스만이란 울타리 안에서 이슬람교도 공동체를 이루며 생활하였다. 그러나 19c말~20c까지 술탄 압둘 하미드2세의 부패한 정치로 인해 아랍인 다수 거주 지역에 불만이 높아졌다. 압둘 하미드2세는 정권 초에 미르하트 파사정권의 개혁정치에 눌려 1876년 신헌법에 동의 입헌군주로써 지냈다. 그러나 2년도 체 안돼서 강제로 의회를 해산시피고 의원가운데 반 술탄적인 의원에게 추방령을 내렸다. 이들 속에는 아랍인 기독교위원들이 다수 포함되어있었다. 이들은 이슬람주의를 부르짖으며 제국을 단결하려는 압둘 하미드의 정책에 반대하며 아랍주의(혈연적)를 들고 나왔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을 약화시키려는 서강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아랍무슬림은 아직은 술탄에게 충성을 바쳤고 지도층 또한 범 이슬람주의의 추종자였다. 아랍무슬림의 지도층은 개혁론자로써 오스만제국을 정화하여 보강함으로써 초기의 순수 이슬람 제국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서강의 팽창주의에 맞서 이슬람 영토와 신자를 방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반 터키(아랍민족주의)운동은 1882년 이집트의 아랍민족의 영웅 우라비 파샤의 반란에 술탄이 영국군을 끌어들여 영국군이 이집트를 함으로써 발생했다. 더구나 2년 후 수단의 마흐디 반단은 반영-터키운동을 아랍인들에게 부채질하였다. 1908년 청년 터키당이 인종과 종교에 관계없이 평등하다고 공식 발표했지만 비 터키계 오스만 국민들은 중앙 집권제에 냉담했다. (그전까지 오스만 제국은 종교와 인종에 다른 밀라 제도를 실시했다.)터키인돌도 청년터키당의 신앙심을 의심하였다. 범 이슬람의 실패 후 범 터키주의를 취함으로써 아랍계국민들의 아랍주의의 바탕인 종교와 언어에 대한 자아를 깨닫게 했다. 그러나 1913년 6월 파리에서 열린 제1회 아랍회의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은 오스만제국의 붕괴는 원치 않았다. 단지 자치만을 원했고 오스만제국이 종교-인종에 구애 받지 않고 공정한 왕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 하였다. 그러나 1914년 1차 세계대전 반발 전 영-프등 선진 연합세력의 아랍국 건설의 약속으로 1916년 메카에서 샤리프 후세인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제 1차 세계대전이후 영국과 프랑스 외상간의 협의 문인 사이코스-피코 협정에서 유대인 신 국가 건설을 약속 했다. 즉 이중 계약을 함으로써 앞으로의 분쟁의 씨앗을 심어놓았다. 1920년 연합국 최고 회의에서 아랍국 건설의 약속을 어기고 초생달 지역에 신탁통치령을 발표하면서 마침내 민족주의의 물결이 터져 나왔다. 영국, 프랑스에 의한 신탁 통치령이 실제화 되면서 아랍인의 정치적 독립과 서구에 대한 반대 투쟁은 세계2차 대전 종말까지 이어졌다. 선진 열강세력인 영국과 프랑스 후진열강세력인 일본, 독일, 이탈리아의 충돌인 후 선진 세력 편에 가담하였던 미국과 소련이 세계강국으로 등장하였다. 두 나라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세력 확보를 위해서 각 식민국가의 독립을 도왔다. 아랍민족주의는 1948년 시온주의에 의한 이스라엘의 재건으로 기폭 되었다. 일부 아랍민족 기독교들 사이에서만 제창되었던 아랍민족주의는 서강세력의 제국주의에 맞서는 주요 요소가 되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마르완 비샤라. 유달승.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서울:한울. 2001.

바삼 티비 『아랍 민족 주의』

이규철, 이성수 『중동지역학 총론』 PUFS부산외국어 대학교 출판부. 1988.

최창모 『이스라엘史』 서울:대한교과서(주) 1994

진병국 “지구촌의 화약고, 팔레스티나” 한국 비상기획보. 2003

김항재 “중동전쟁의 이해”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제 41기 수료 논문집 최고경영자과정. 2005

류정렬 “6日戰爭 以後의 中東平和政策” 한국외국어대학교 硏究叢集. 1981

아브라함 아야론 “6日戰爭” 국방부 전사논의회 군사 제 6-7호. 1983

Author. A. A., and B. B. Author. Title of Work(in italic). Location : Publisher, Year.

Author, A. A., B. B. Author, and C. C. Author. "Title of Article." Title of Periodical(in italic) Volume(Number) (Date): pages.

http://www.cygo.co.kr(검색일:2007.5.5)

http://www.pressian.com (검색일:2007.4.1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