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

 1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1
 2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2
 3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3
 4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4
 5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5
 6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6
 7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7
 8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8
 9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9
 10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10
 11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11
 12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12
 13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고도를 기다리며와 자명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자명고


작품세계와 연극관
1.작품세계와 그 이행과정

1)저항으로서의 연극
2) 사실과 낭만의 역사극
3) 사실주의극으로의 회귀
4) 심화된 사실주의극
2. 농촌소재극 / 전쟁소재극 / 역사소재극

1)농촌소재극

2)전쟁소재극

3)역사소재극
◆역사 소재극의 갈등

◆역사적 인물

◆역사소재극 구조


등장인물
작품의 표현적 기법 - 알레고리 (풍유(諷諭))

텍스트를 통한 작품 해설

1. 유치진의 역사극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2. 인물들의 행동분석

3. 화합으로서의 사랑
자명고의 막 구성

극장의 장관적 요소
같은 설화를 주제로 한 그 외 작품들

Ⅱ.고도를 기다리며

1.작가배경
1)「고도」를 쓰기까지의 베케트의 삶
2) 정치 사회적 배경
3) 사상적인 영향 관계

2. 줄거리

3. 부조리극

1)부조리극의 정의

2)부조리극의 출현 배경

4. 등장인물과 그 성격
5. 고도의 정체는 무엇인가?

1) 첫 번째 가설 - 신(godot)

2) 두 번째 가설 - 죽음(death)

본문내용
등장인물

최리: 낙랑군국의 국왕
공주: 최리의 딸
왕자 호동: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낭중 장초: 한나라의 젊은 장군, 한족

+ 샛별(시녀), 예관(낙랑의 문관), 위(낙랑의 무관), 주부(호동의 부하), 우태, 박수, 도제(박수의 도제), 낙랑군사와 고구려 군사들, 궁녀, 석공 등

자명고 줄거리

-1막(발단): 호동은 자명고를 없앨 목적으로 낙랑에 오게 되지만 낙랑에 잡힌다.
-2막(전개): 최리의 딸인 공주에게 반한 한나라 장수 장초는 공주가 싫어하는 고구려 왕의 아들인 호동을 잡아 죽이려고 한다.
-3막(위기): 공주는 처음에 호동을 싫어했지만 호동의 조국애와 민족애를 보고 자신의 무지를 깨달으며 사랑에 빠지게 된다.
-4막(절정): 최리에게 잡혀 옥에 갇히게 된 호동을 풀어주려고 공주는 장초를 거짓유혹하고 자명고를 찢어달라는 호동의 부탁을 들어준다.
-5막(결말): 자명고가 없는 낙랑은 고구려에게 정복당하고, 이 사실을 알게 된 최리는 공주의 목을 베고 자신은 할복자살을 한다. 장초는 낙랑군에게 죽임을 당한다.

-> 유치진의 낙랑고는 기존의 설화보다 ‘한나라’의 존재가 더 부정적으로 부각되었고,
고구려와 낙랑이 한 민족임이 더 강조되었다.

작품의 표현적 기법 - 알레고리 (풍유(諷諭))

알레고리(Allegory)는 그리스어 ‘다른(allos)’과 ‘말하기(agoreuo)’라는 단어가 합성되어 만들어진 ‘알레고리아(allegoria)’의 영어식 표현이다. 이는 고대로부터 내려온 수사법의 하나로, 말하고자 하는 바를 그대로 드러내지 않고 다른 것에 빗대어 설명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알레고리는 어떠한 의미 또는 교훈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서사적 기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야기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가면 안에서 선이나 악덕과 같은 관념적인 속성이나 가치를 표현한다.

텍스트를 통한 작품 해설

1. 유치진의 역사극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1) 리얼리즘 : 외세 강점과 국권 위기의 시대 (사회적 차원)
- 외세(한나라)로 인한 국권 위기의 사회상은 해방기(1947년)의 불안한 정국 1945년 해방 이후 1950년 6․25전쟁 전까지 한반도는 북쪽은 소련군, 남쪽은 미군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을 제시
=> 역사적인 갈등의 상황을 알레고리의 형식으로 드러냄
- 현실을 과거에 투영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현실을 비판
“역사극은 역사적 사실을 빌려서 과거를 비판하는 것이고 과거란 현재와 관련된다”
- 유치진이 말한 연극의 ‘교화성’이 나타남 -> 계몽사극
- 극의 전반부에서 인물의 사회적 자아가 우세하게 나타남 → 공격성(전투)
(낙랑공주 vs. 호동왕자)=(외세의존 국수주의자 vs. 외세배척 민족주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