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

 1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
 2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2
 3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3
 4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4
 5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5
 6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6
 7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7
 8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8
 9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9
 10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0
 11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1
 12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2
 13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3
 14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4
 15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5
 16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6
 17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7
 18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8
 19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19
 20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업경제] A THEORY OF FIRM SCOPE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 THEORY OF FIRM SCOPE


1. 본문해석본
◇ 서론
◇ 일치의 기본 모델
◇ 외주생산으로의 확장
◇ 결론
2. 본문요약
◇ 서론
◇ 일치의 기본 모델
◇ 외주생산으로의 확장
◇ 결론
3.종합적인 토의
4.느낀점
5.최종결과
본문내용
11
비록 예나 아니요 라는 결정은 사전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줄일 수는 없지만, 우리는 조직적인 형태가 그 초기단계에서는 줄일 수 있다고 가정할 것이다. 따라서 Coasian bargaining 는 (Za+Zb)(그런데 여기에는 부의 구속도 없고 정보도 대칭적이다.) 총잉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조직적인 형태가 효율적으로 선택되어진다고 보장할 것이다. 이것을 좀 더 풀어 적어본다면 ; 만약 그 구성단위들이 처음에는 경영인 소유이지만 통합이 더 효율적이라면, 전문경영인이 경영인 A, B로부터 세 구성원이 모두 좀 더 좋아지는 가격으로 통제권을 살 것이다. (특히, 전문경영인의 통제권 아래에서 받는 총액으로부터의 경영인i의 이익은 최소한 통합하기 전의 급료와는 동등해야 한다.) ; 그리고 만약 그 구성단위가 처음부터 전문경영인에 의해 소유되었고, 비통합이 더 효율적이라면, 경영인 A, B는 세 구성원이 모두 좋아지는 가격으로 전문경영인에게서 통제권을 살 것이다.
요약하자면, 조직적인 형태는 뒤의 게임에서 Za+Ab의 가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1 기간의 초기에 선택되어 진다.
우리는 다음의 기술적 가정을 만들어 볼 것이다. 우리는 만약 두 구성원 모두가 통합하거나, 두 구성원 모두가 통합하지 않았을 경우에 총잉여와 총수익이 최대화 될 것이라고 가정할 것이다. 그것은

(2.3) Max [zA(Y,Y) + zB(Y,Y), zA(N,N) + zB(N,N)]
>= Max [zA(Y,N) + zB(Y,N), zA(N,Y) + zB(N,Y)],

(2.4) Max [vA(Y,Y) + vB(Y,Y), vA(N,N) + vB(N,N)]
>= Max [vA(Y,N) + vB(Y,N), vA(N,Y) + vB(N,Y)].

우리는 이 두 모델에서 통합이 두 종류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첫 번째는, 조정이 비조정보다 더 큰 사회적 잉여를 산출할 때, 하나의 구성원은 손해를 본다. i...e 급여의 배분이 불공평하다. ; 따라서 이 구성원은 협력하는 것을 거절할 것이다. 두 번째 비효율은, 두 구성원이 협력으로 이득을 얻지만 협력이 내쉬균형이 아닐 때 일어난다. 적어도 한 구성원은(조정에서) 벗어나기를 원할 것이다. (이것이 전형적인 죄수의 딜레마 또는 무임승차 문제이다.)

12
순수한 협력
비록 대부분의 실제 상황에서는 이것들은 결합되어 있지만 이 효과를 분리해 보는 것은 유용하다. 그러므로 오직 첫 번째 비효율만 존재하는 경우를 분석함으로써 시작 해 보자 ; 우리는 이것을 순수한 조정이라고 부른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