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

 1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
 2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2
 3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3
 4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4
 5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5
 6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6
 7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7
 8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8
 9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9
 10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0
 11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1
 12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2
 13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3
 14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4
 15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5
 16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6
 17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7
 18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8
 19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19
 20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립의 새로운 과제와 전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머리말

2. 뉴미디어의 속성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탐색

3.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이해

4. 커뮤니케이션 정책연구의 부각

5.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심리학

6. 뉴미디어와 국제 커뮤니케이션

7. 뉴미디어와 정보경제

8. 뉴미디어와 수용자

9. 뉴미디어와 정치경제학적 논의

10. 뉴미디어의 문화적 담론

11. 맺음말
본문내용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학문적 논의는 겉으로는 침묵하고 있으나 안으로는 불확실한 미래를 극복해야하는 이론적 난점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이러한 논의는 1980년대 초반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CA)에서 편집한 학술지를 통해 표명화되었다(Ferment in the Field, 1983). 당시의 논의는 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독자적인 학문 discipline 에 속하느냐 또는 연구 분야 field 에 머물러 있느냐를 거론되었고 특히 유럽과 미국으로 갈라지는 지형적 차이와 이에 편승한 학문적 접근의 차이, 즉 비판이론 critical theories 과 실증이론 administrative research 의 차이가 심오하게 거론되었고 심지어는 반목으로 치닫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한국에서도 1980년대에 이러한 흐름과 맥을 같이하여 지형적, 이념적 차이의 조화를 맞추지 못한 채 당시의 정치.사회적 특수성을 반영하듯이 비판 이론의 주류가 강세를 보이던 시절이 있었다. 또 미국에서는 1980년대에 기존의 연구 주제를 지속하되 새로운 연구 접근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든지 또는 이론적 틀을 혁신적으로 전환시켜야 된다는 파라다임의 차원에서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기도 했다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

원우현(편) (1991). 《한국 언론학의 쟁점과 진로》. 서울:나남.
강상현 (1996). 《정보통신 혁명과 한국사회》. 서울: 한나래.
권혁남 (1991). 수용자 개념의 변화와 효과이론, 《방송연구》, 32.
존 스토리 (1994).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박모(역). 서울: 현실문화연구.
전석호 (1993). 《정보사회론: 커뮤니케이션 혁명과 뉴미디어》. 서울: 나남.
전석호 (1987).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미디어 근접성에 관한 연구. 《신문학보》, 22.
전석호 외 (1997). 《정보정책론》. 서울: 나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