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

 1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
 2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2
 3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3
 4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4
 5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5
 6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6
 7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7
 8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8
 9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9
 10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0
 11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1
 12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2
 13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3
 14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4
 15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5
 16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6
 17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7
 18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방의학] 청소년의 섭식장애 경향에 관한 사회 심리학적 요인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방법

3.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

2. 조사대상의 사회․심리학적 특성

3. 사회심리적 특성과 섭식장애의 관련성

Ⅳ. 고찰

Ⅴ.References

본문내용
6)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 자기 존경과 자신을 가치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라고 정의한다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청소년의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1965)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총 10문항으로서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청소년이 평소 자신의 행동을 생각하여 ‘정말 그렇다’(4점)에서 ‘정말 아니다’(1점)까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4점 척도이다. 문항 3,5,8,9,10번은 역 채점하며, 개인이 얻을 수 있는 총점의 범위는 10~40점이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존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아 존중감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자아 존중감의 신뢰도는 0.79로 나타났다.

7) 우울증
우울증이란 무 희망감, 불안정감, 슬픈 감정이나 우울감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흥미나 즐거움이 감소되거나 불쾌한 기분을 느끼는 것으로 정의된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아동용 우울척도인 Kovacs and Beck'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은 아동기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증상들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보고형 척도로써 Beck(1967)의 성인용 우울척도를 아동의 연령에 맞게 변형시킨 것이다 Kovacs M.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Manual. Toronto, Ontario, Canada: Multihealth Systems, Inc.; 1992.


8) 완벽주의
완벽주의는 사전적으로 자신의 일에서 완벽을 향한 극도의 추구 eh는 조금이라도 완벽하지 않은 것은 받아들일 수없는 것으로 간주하는 특성으로 정의된다. Merriam-Webster's New collegiate Dictionary, 1993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완벽주의 척도는 캐나다의 Hewit와 Flett가 개발하였으며 Hewitt, P. L. & Flett, G. L.(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m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0, pp.456~470.
,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한 완벽주의’ 의 3가지 측면으로 구성되어있다.

3. 통계분석

참고문헌
Maloney, McGuire, Daniels, & Speaker, 1989; Pizzuli, & Cynthia C., 2003
안보영, 송현주(2007). 섭식장애에 대한 최근 연구 고찰; 발병원인과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Journal of Psychotherapy, Vol.7, No.2, pp.57-74.
Appel Ch. (1998) Essstoerungen. Projektstudie zur Qualifiziering and Optimierung ambulanter Behandlung und Nachsorge fuer essgestoerte Menschen mit und ohne Suchtkombination. Freiburg im Breisga: Lambertus
미국섭식장애협회
김은희 (2000). 여대생의 체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오숙현 (1994). 여대생의 섭식장애 행돵과 부모와의 애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서울.
Hammer C. & Kapeller J. (2009) Functional variants of the serotonine receptor type 3A and B gene are associated with eating disorder.
Frieling H. (2009) Epigenetic dysregulation of dopaminergic genes in eating disorders.
Hogan MJ (2008)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the media
Shomaker LB & Furman W. (2009) Interpersonal influences on late adolescent girls' and boys' disordered eating.
김율리, 2008
Soh, Touyz, & Surgenor, 2006
Bruch, H. (1985). Four decades of eating disorders. In D. M. Garner & P. E. Garfinkel(Ed.), Handbook of psychotherapy for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pp.7-18). New York, London: Guilford Press.
임진희, 2003
v Friedman, M.A., & Brownell, K.D. (1995). Psychological correlates of obesity: Moving to the next research gener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 3-20.
김계하, 양경미(2008). 농촌지역 중학생의 섭식장애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의 관계. J Korean Acad Nurs Vo.38 No.1, Pg.55-63
Jung Lee(2008). Adolescent girls' eating disordered behaviors and family communication over a four-time period: Latent Growth Modeling (LGM)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2, No. 3, pp.467-492.
김준기, 최신정신의학 제 5판;
김정욱, 학지사 이상심리학 시리즈 13
김정욱, 학지사 이상심리학 시리즈 13
안보영, 송현주(2007). 섭식장애에 대한 최근 연구 고찰; 발병원인과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Journal of Psychotherapy, Vol.7, No.2, pp.57-74.
Lee, I. S. (1997). Eating and dieting style of college women. Korean
J Clin Psychol, 16(1), 87-100.
Galvin & Brommel (1986)
민혜영(1990). Circumplex model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 청소년 자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Kim, Y. H. (1990).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신미영(1997). 대중매체가 여성의 다이어트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상로, 변창진, 진위고. 표준화 성격진단검사. 중앙학생연구소, 196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Kovacs M.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Manual. Toronto, Ontario, Canada: Multihealth Systems, Inc.; 1992.
Merriam-Webster's New collegiate Dictionary, 1993
Hewitt, P. L. & Flett, G. L.(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m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0, pp.456~470.
신미영(1997). 대중매체가 여성의 다이어트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Trembly L. & Lariviere M.(2009) The influence of poberty onset, body mass index, and pressure to be thin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공성숙 (2004). 일반 여성과 섭식장애 여성의 섭식장애 증상 및 우울에 관한 연구. J Soonchunhyang Med. Coll. 10(3), 2031-2038
김계하, 양경미(2008). 농촌지역 중학생의 섭식장애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의 관계. J Korean Acad Nurs Vo.38 No.1, Pg.55-63
최명숙(2002). 중년여성의 신체불만족, 우울과 섭식장애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8, No.4, pp.570-582.
McLean SA & Paxton SJ(2009).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dissatisfaction and disordered eating in women in midlife.
신미영(1997). 대중매체가 여성의 다이어트와 섭식자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ogan MJ (2008)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the media
이경혜, 김숙경, 천기정, 한숙희 (2003). 여자대학생들의 섭식장애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9, No.4, pp. 390-399.
이상선 (1994). 여대생의 식사행동과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전공.
김정내, 하정희(2006). 완벽주의와 자의식이 남녀 대학생의 섭식장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 2. pp. 107-131.
Kinder, B. N. (1991). Eating disorders(Anorexia and bulimia nervosa). In M. Herson & S.M. Turner(2nd Eds.), Adult psychopathology and diagnosis. John Wiley & Sons.
최명숙(2002). 중년여성의 신체불만족, 우울과 섭식장애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8, No.4, pp.570-582.
김정내, 하정희(2006). 완벽주의와 자의식이 남녀 대학생의 섭식장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 2. pp. 107-131.
김계하, 양경미(2008). 농촌지역 중학생의 섭식장애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의 관계. J Korean Acad Nurs Vo.38 No.1, Pg.55-63
Jung Lee(2008). Adolescent girls' eating disordered behaviors and family communication over a four-time period: Latent Growth Modeling (LGM)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2, No. 3, pp.467-492.
김준기, 최신정신의학 제 5판;
김정욱, 학지사 이상심리학 시리즈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