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

 1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1
 2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2
 3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3
 4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4
 5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5
 6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6
 7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7
 8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8
 9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9
 10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10
 11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11
 12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12
 13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13
 14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14
 15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신건강론] 자폐증(Autism)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Ⅰ.자폐증의 정의&원인
1. 자폐증(Autism)의 정의
2. 자폐증의 원인
① 심리적 원인
② 유전적 원인
③ 기질적 원인

□ Ⅱ. 증상
1. 사회적 상호작용
2. 의사소통
3. 흥미와 활동
4. 감각
5. 지능과 특별한 재능

□ Ⅲ.유병률

□ Ⅳ.진단
1. ICD-10체제(국제 질병 분류 체제)
2. 자폐증이 영아기때 진단되지 못하는 이유
3. DSM-Ⅳ진단

□ Ⅴ.치료
1. 자폐증의 치료
① 약물 치료법
② 행동치료법
③ 의사소통 지도법(언어치료)
④ 감각통합 훈련법
⑤ 청각통합 훈련법

본문내용

③ 기질적 원인
● 생화학
자폐증에 있어서 생화학적 연구의 대부분은 신경 전달 물질에 관한 것이다. 신경 전달 물질은 근육 수축과 신경 활동에 영향을 주는 화학적 매개체로서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매개체는 우울증과 정신분열증과 같은 많은 정신의학적 조건에서 연구되어 있듯이 기분, 정서, 사고 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매개체의 과잉 또는 부족, 혹은 여러 가지 다른 화학적 매체간의 불균형은 혼란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여러 신경 전달 물질에 관해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으나 자폐 아동에게는 세라토닌에 초점을 두어 왔다. 세라토닌은 필수아미노산, 트리포판의 신진대사 생성물이다. 이것은 인간에게 필수적이나 인간의 신체 내부에서는 다른 단백질로부터 세라토닌을 합성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세라토닌은 개인적으로 섭취하는 영양분의 일부러 얻어진다. 화학적으로 세라토닌은 LSD와 비슷하나 같지는 않고, 뇌의 어떤 부분에서 고도의 농축으로 발견되며 그리고 장의 점막과 혈액 응고 입자같이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고도 농축으로 발견되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질이다. 세라토닌은 정상적 뇌기능에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라토닌 수준이 감소되거나 LSD나 혹은 레서핀약 복용으로 세라토닌 수준이 증가되는 두 경우에 행동 이상이 보였다. 어떤 자폐 아동에게서는 세라토닌의 높은 수준을 보고하는 연구가 있으나 아직 많은 문제와 일치되지 않는 결과가 보고된다.

● 뇌기질
Lewis, Strause Lehtinen은 뇌손상 아동의 증후와 자폐 아동이 증후간에 유사성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Demyer는 12년 이상 155명의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경학적 상태와 지능 수준을 평가하고, 그들 부모의 병리와 성격 및 양육 기술을 측정하고 나서, 자폐 아동의 사회적 금단증과 의사 소통이 안되는 말, 그리고 비기능적 대상의 내용 등이 신경학적 기능장애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뇌손상과는 달리 뇌의 비정상적인 형태의 것으로 자폐 아동들의 소뇌가 정상 아동들과 해부학상 비정상적인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고도 본다. 자폐 아동들의 소뇌는 일반 아동들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소뇌의 발육 단계에서 나타나는 분화의 속도가 일반 아동들에 비해 둔화되어 분화의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Rimland가 주장하는 이론의 맥락은 자폐증은 인지 장애라는 것이며 양질의 환경으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주의의 각성의 조절에 실패하는 것은 뇌간의 조직 체계의 기능적 결함의 결과라는 것이다. Williams에 의해 보고된 연구는 자폐 아동들의 소뇌에 푸르
참고문헌
참고문헌

▪ 나동석, 서혜석, 이대식, 곽의향, 김미혜. 『정신건강론』. 양서원, 2008.
▪ 김미경. 『자폐장애 및 정서·행동장애의 이해』. 청목출판사, 2007.
▪ Katherine Paxton, Irene A. Estay. 『사례를 통한 자폐인의 인지, 행동, 정서이해』. 이경아 · 조성숙 · 홍은미 · 조숙환 역. 시그마프레스, 2009.
▪ L. Juane Heflin, Donna Fiorino Alaimo.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의 실제』. 신현기 · 이성봉 · 이병혁 · 이경면 · 김은경 역. 시그마프레스, 2007.
▪ Simon Baron-Cohen, Patric Bolton 저서,『자폐증의 진단과 치료』, 특수교육, 1996
▪ http://www.vitaminmd.co.kr/index.md
▪ 이승희 (李承禧),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이해』, 학지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