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

 1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1
 2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2
 3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3
 4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4
 5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5
 6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6
 7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7
 8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8
 9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9
 10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10
 11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11
 12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디어와젠더] 아동용 TV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뽀롱뽀롱 뽀로로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프로그램 선정 이유
2. 프로그램 및 캐릭터 소개

Ⅱ. 본론
1. 캐릭터 성역할 분석
1) 남성 캐릭터
2) 여성 캐릭터

2. 시각적 요소 분석
1) 캐릭터 형태 분석
2) 캐릭터 색채 분석

3. 청각적 요소 분석
1) 부정적 어휘 및 어법
2) 동사의 말미 사용 비교
3) 성별 어법 비교
4) 부사 사용 비교
5) 언어 사용 목적

Ⅲ. 결론
*에서 재현된 젠더의 특성 및 논점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4) 부사 사용 비교
부사 사용에 있어 남녀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은 친근감을 주로 사용하는 “정말”, “굉장히”, “너무”, “사실”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부사를 사용하고, 남성은 “역시”, “진짜”, “분명히” 와 같은 부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부분에서도 여성캐릭터들의 사용 횟수가 남성캐릭터의 사용 횟수에 비해 더 많이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상태나 감정에 대한 묘사가 더 섬세하고 감정적이라는 뜻이다. 부사 가운데도 정도 부사가 현저하게 많이 나타나는데 그것도 ‘너무, 무지, 아주, 엄청, 정말’과 같은 극성 정도 부사가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감정 감탄사가 여성 언어에 많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여성이 자신의 주관적 감정 표현을 남성보다 더 많이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독특한 점은 캐릭터 간 상호 칭찬이나 찬사의 내용이 많았다는 것인데 칭찬과 찬사의 방법으로는 “예쁘다”, “멋있다”, “굉장하다”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예쁘다”라는 어휘는 작품의 대상층과 캐릭터의 특성상 눈에 띄게 많았으며 “흥”과 같은 감탄사는 남성캐릭터보다 여성캐릭터가 대부분 사용했다.

5) 언어 사용 목적
남녀 언어 사용 목적에 있어서의 차이는 이 작품에서도 나타났다. 남성은 정보 전달의 기능, 여성은 감정 전달 기능을 주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면 편에서 루피가 본인이 뚱뚱하다고 말하면서 걱정하는 부분에서 남성캐릭터는 “운동을 하면 되. 그럼 뚱뚱해지지 않아”, “운동 대신 춤을 추면되잖아.” 라고 말하는 반면 여성캐릭터인 루피는 “난 운동을 잘 못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여성은 소극적이고 자신의 감정적인 면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남성캐릭터는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나열하는 행위와 언어를 많이 취하고 있었다.
부정하는 방법과 사용 빈도에서도 남 ․ 여성 간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이 여성보다 부정의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 예로는 “어림없어”, “말도 안 돼”, “그것도 못 건너면서”, “엉터리야”,
참고문헌
Ⅳ. 참고 문헌
TV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성차 연구/김명희, 세종대 교육대학원,2009, 석사논문 (주요 참고 문헌)
애니메이션캐릭터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소미,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2009, 석사논문
아동용 TV 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Gender의 특성 연구/박미영, 홍익대 영상대학원, 2007, 석사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