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

 1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1
 2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2
 3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3
 4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4
 5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5
 6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6
 7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 가타카를 통해 본 모르펙트(morfect)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영화소개(가타카)
2. 방법론 및 개념정의
2-1.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학
자아실현적 행복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
2-2. 궁극적인 자아실현적 행복감 지향
2-3. 개념정의
모르펙트(morfect)사회
3. 영화 속의 모르펙트와 엔돌펙트
4. 현실 속의 모르펙트
4-1. 스펙(spec)을 강요하는 사회- 스펙과 모르펙트
4-2. KAIST 자살사건과 모르펙트
본문내용
2-2. 궁극적으로 자아실현의 행복감(심리적 안녕감)을 지향해야한다.

현대 심리학에서 행복감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쾌락적 행복 (주관적 안녕감을 추구하는)과 자아실현적 행복(심리적 안녕)으로 나뉜다. 황혜선·서은국, 「쾌락적 행복과 자아실현적 행복의 차이」,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p.152
바로 자아실현적 행복이 우리가 추구하는 본질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자아실현적 행복이 앞서 말한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인간의 목적이다.
자아실현의 의미가 부재한 「가타카」 세상에서 우리는 현실의 면모를 볼 수 있다. 이는 경쟁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사회적인 기준과 수준을 충족시키고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회인들의 모습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경쟁사회 혹은 사회적인 수요, 기준 등을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을 부정하려고 하기보다는 그러한 경쟁 속에 자기 자신의 모습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의 문제다. 특히 사회인이 되기 직전의 대학생들인 우리들의 경우에 그 문제가 가장 두드러진다. 빈센트는 우주비행사가 되기 위해서 그에 필요한 것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그의 노력은 자아실현의 행복을 위해서이다. 반면 우리들은 빈센트처럼 각자가 자아실현의 목적을 안고 행복을 추구하는지 의문이다. 현재 많은 대학생들이 스펙 쌓기에 급급하여 자신이 무엇을 바라거나 무엇을 하고 있는지 쉽게 잊고 있지는 않은가 싶다. 졸업 후 취업이 급하기 때문에 혹은 안정적으로 살기 위해 남들과 같은 노력을 하는 와중에 너무 쉽게 자신의 꿈을 잊거나 자신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쏟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 싶다. 사회적인 압력, 환경적인 이유에 의해 자기 자신을 잃고 자아실현적 행복감(심리적 안녕감)을 느끼지 못하는 자아실현의 목적은 결여된 채 사회적인 기준 혹은 다른 사람들의 시선 하에 「가타카」에 입성하는 것만이 목적이 되고 있지 않은가에 대해 묻고 싶다.

2-3. 개념정의

참고문헌
6. 참고문헌

유원기,「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인간학」, 《가톨릭신학과사상 제26호》, 2008.

석창훈·신창호, 「매슬로우의 자기실현인 심리학에 의거한 수운 최제우의 삶과 얼에 대한 이해」,《인문과학연구 제27집》, 2010.

황혜선·서은국, 「쾌락적 행복과 자아실현적 행복의 차이」,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황수관, 「엔돌핀과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96.

이상엽, 「『멋진 신세계』와 에서 살펴 본 인간의 자유와 자유의지」, ≪문학과 영상≫, Vol.5 No.2, 문학과영상학회,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