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

 1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
 2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2
 3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3
 4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4
 5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5
 6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6
 7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7
 8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8
 9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9
 10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0
 11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1
 12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2
 13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3
 14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4
 15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5
 16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6
 17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7
 18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8
 19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19
 20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학] 현대극작가론-최인훈의 희곡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그는 누구인가?
2.배경
(1)시대적 측면
(2)사상적 측면

3.플롯구조

4.작품분석
(1) 작품 동영상
(2) 줄거리
(3) 분석

5.질의 응답

마무리

본문내용
최인훈, 오태석, 이현화 등은 민속 연희 형식(탈춤,
판소리, 굿, 마당놀이)을 빌어 전통극의 양식화를
시도하거나 역사, 고전 설화 등에서 소재를 취했다.

70년대의 실험양식은 서구의 극 양식을 우리식대
로 재창조하는 양식이 활발하였다.

우리의 전통극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려는 노력 또
한 주목. 서구의 반사실주의와 뚜렷이 구분되었다.

한국 희곡의 주체성과 독창성을 돋보이게 하였다.

1970년대의 희곡의 특성은 ‘인간의 무의식’과 ‘권
력과 통제의 알레고리’의 측면으로 해석할 수 있다.


(5) 의 확산 구조

1) 여름. 달래에게 바우가 가을에 결혼하자고 말함.
달래는 갈등함.

2) 산속 굴. 달래가 문둥이 흉내를 내며, 어릴 때 엄
마가 자신에게 해준 ‘소금장수가 문둥이를 만난
이야기’를 재연함. 엄마가 자신을 달래주던 것을
회상함.

3) 겨울밤. 방안. 달내는 아버지에게 꿈에 엄마가
문열어달라는 말을 하며 나타났다는 얘기를 함.
그때 ‘소리’로 어미가 나타나 문을 열어달라고 함.
아비는 내쫓음.


한 마을에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부부가 있다. 그 마을에는
마을에 용마가 울면 장수가 태어난다는 전설이 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에 용마가 우는소리가 들린다. 관군은 용마를 잡
으러 산과 마을을 다 뒤지다 결국 찾지 못하자 아기 장수를 직
접 찾아 없애려고 한다. 주인공인 가난한 부부는 자신의 아이
가 아기 장수임을 뒤늦게 알고 두려움에 떨다가 남편이 아기
장수를 직접 죽여 묻고 돌아온다. 그 사이 아내는 스스로 목숨
을 끊고 이를 발견한 남편도 뒤를 따르려할 때, 아기 장수가
다시 살아와서 부모와 함께 용마를 타고 하늘로 승천하게 된
다. 이 장면을 목격한 마을 사람들은 한 판 춤을 추면서 ‘훠이
훠이 다시는 오지 마라’며 노래를 부른다.


③말더듬이

에서 남편은 아기를 죽이는 살인자
이다. 아기는 민중들이 원하고 있는 희망, 구원으로 상징되는
대상이었다. 이러한 대상을 죽이는 행위는 민중 마음 속의 해
방에 대한 욕구를 누르는 행위와 일치한다. 남편의 결함은 공
포를 억누르려는 욕망이다. 이러한 결함 때문에 현실의 공포를
억누르기 위해, 근본적인 공포를 없앨 수 있는 인물인 아기를
죽이고 불행에 빠지는 것이다. 이러한 남편의 결함은 말더듬이
라는 외적인 결함으로 나타난 것이며 말더듬이는 극도로 억압
되어 있는 인물의 극적인 표현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