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

 1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1
 2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2
 3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3
 4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4
 5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5
 6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6
 7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7
 8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8
 9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9
 10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10
 11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11
 12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12
 13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13
 14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14
 15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제사] 2011 국제유가 상승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대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서론
2. 본론
2.1. 국제 유가 변동의 원인과 과정
2.2. 국제 유가 변동의 결과와 영향
2.3. 1·2차 석유파동과의 비교 분석
2.3.1. 제 1차 석유파동
2.3.2. 제 2차 석유파동
2.3.3. 1․2차 석유파동이 한국경제에 미친 영향
2.3.3.1. 제 1차 석유파동이 미친 영향
2.3.3.2. 제 2차 석유파동이 미친 영향
2.4. 앞으로의 전망과 위기극복대안
3. 결론
4. 부록 - 1, 2차 오일쇼크기 및 석유안정기의 주요 경제지표 변화
5. 참고자료
본문내용
마지막으로, 석유소비 증가세의 둔화이다. 석유에 대한 수요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지만, 그 증가세는 갈수록 둔화되고 있는데, 세계 최대 석유소비국인 미국과 중국에서 소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산유국이 증산을 서두를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상이 원유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OPEC에서 증산을 하지 않는 이유이다. 이번 6월에 있었던 합의의 실패에 따라 OPEC이 더 이상 유가 안정에 기여할 수 없다는 사실도 부각되었고, 이로 인해 올해 배럴당 130$까지 이를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주요 원유 수입국들은 국내 유가 안정을 위해 별도로 대책을 마련해야 할 전망이다. 이것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자면, 고유가의 촉발된 원인은 공급부족에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아랍의 봄’이라고 볼 수 있는 재스민혁명에서 커져간 중동, 북아프리카의 민주화 운동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 즉, 산유국간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대립과 긴장이 높아진 것과 글로벌 저금리에 의한 투기, 유가의 수급 불균형, 그리고 현재 미국의 석유 재고량 감소도 유가를 상승시켜 복합적인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불안요소가 장기화된다면, 제 3의 오일쇼크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2.2. 국제 유가 변동의 결과와 영향
이러한 유가 변동의 결과로 전 세계가 타격을 받는 가운데, 미국에 이어 제 2위의 석유 소비국인 중국과 제 6위의 석유 소비국인 한국의 타격은 특히 컸다. 특히 대내적 당면 과제를 현대화 건설, 이른바 제16대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내건 전면적 소강사회건설(全面建設小康社會)라는 기치를 내걸고 2020년까지 국내생산총액을 2000년의 4배 수준으로 늘림과 동시에 기본적인 공업화 실현을 목표로 내건 중국의 경우, 대외 안보·외교 전략의 수정을 가져올 만큼 큰 것이었다.
실제로 중국의 경제 성장과 자원 소모는 정비례관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중국이 미래 15년간 경제성장을 7%이상 유지하려면, 석유는 적어도 4% 이상의 속도로 증가해야 한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중국 국내원유생산량의 증가속도는 2% 정도로 예상되리만큼 미미한 것이었다.
또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45년 전 개발되어 그동안 18억 톤의 원유를 생산, 중국 석유생산량의 40%를 담당해왔던 헤이롱쟝성(黑龍江省) 다칭(大慶) 유전조차도 1999년 1백 10만 8천 배럴의 일 생산량에서 2000년에는 1백 5만 7천 배럴, 2001년 1백 3만 배럴, 2002년에는 1백만 7천 배럴까지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으며, 주요 유전인 승리(勝利), 요하(遼河), 해양유전, 기검(基劍) 등은 2002년 생산량이 집계조차 되지 않고, 신장(新疆)타림(塔理木) 등의 유전에서만 근근이 2002년 기준으로 일일 3십만 배럴을 채울 정도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적극적 에너지 확보전략을 도입하기에 이르며, 크게 세 가지이다.

참고문헌
5. 참고자료
․ 인터넷자료
- 지식경제부 - http://www.mke.go.kr
- 통계청 - http://www.kostat.go.kr
- 한국은행 - http://www.bok.or.kr
- IMF - http://www.imf.org
- OPEC - http://www.opec.org

․ 참고서적
- 우레이(吳磊),『중국석유안보』, 북경: 중국사회과학출판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