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의생활 문화

 1  한국의 의생활 문화-1
 2  한국의 의생활 문화-2
 3  한국의 의생활 문화-3
 4  한국의 의생활 문화-4
 5  한국의 의생활 문화-5
 6  한국의 의생활 문화-6
 7  한국의 의생활 문화-7
 8  한국의 의생활 문화-8
 9  한국의 의생활 문화-9
 10  한국의 의생활 문화-10
 11  한국의 의생활 문화-11
 12  한국의 의생활 문화-12
 13  한국의 의생활 문화-13
 14  한국의 의생활 문화-14
 15  한국의 의생활 문화-15
 16  한국의 의생활 문화-16
 17  한국의 의생활 문화-17
 18  한국의 의생활 문화-18
 19  한국의 의생활 문화-19
 20  한국의 의생활 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의생활 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 의생활의 특징
2. 복식의 시대별 변화과정
고구려·백제·신라
고려
조선
개화기
1945- 1960년대
1961-1980년대
1981-1990 년대
1991-2000년대
3. 한국 의생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문내용
상의와 하의가 구분된 직령교임형(直領交袵形)

상의: 저고리로 좁은 소매가 달려 있으며 대를 둘렀고 섶․도련 등에 선을 댐.

하의: 바지로서 활동이 편하도록 가랑이가 따로 떨어진 형태.

여인들은 세로로 선이 들어간 치마.
ex)토우 · 토용상, 삼국유사


-서양복의 수용
강화도 조약을 계기로 서양 문물이 유입되기 시작.
별기군(別技軍)

세 차례 의제개혁
1884년 갑신 의제 개혁, 1894년 갑오 의제 개혁,
1895년 을미의제 개혁
: 거추장스러운 옷들을 간편한 옷으로 바꾸도록 한 것.

포를 두루마기로 통일 - 반상과 상하 존비 철폐계혁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
-명령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제복 (군복, 관복, 학생복)이
먼저 변하기 시작.
-양복이 등장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던 시기에 정부차원에서
‘국민운동본부’를 두고 간소화한 국민복 착용을 유도.

남자의 장발이 유행하여 사회적인 지탄의 대상이 되었고, 1962년에는 장발단속이 시작.

짧은 핫팬츠나 미니스커트 등이 점점 기승을 부리자 풍기문란이라고 하여 1973년부터는 경찰이 단속하고 경범죄로 다스림.

진(jean)은 1970년대 중반에 들어와 말에는 진 패션의 절정을 이루었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두산동아, 2006

- 고부자, 『우리생활 100년 : 옷』, 현암사, 2001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 김문자, 교문사, 1998

-『한국생활문화사전 : 우리는 왜 생활을 기록하지 않는가』,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6

- 김미자 “우리나라 三國時代 衣服과 日本 依服에 관한 硏究”, , 世宗大學校, 1993

-「의생활 : 오늘의 문제와 내일의 과제」,1993년도 춘계학술대회,

- 노주연, “패스트 패션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해석”, 2009

- 박명희, 『한국의 생활문화 :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교문사

- 네이버 백과사전

- 위키피디아 코리아

- 시사매거진 2580 (2011.5.22. MBC)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