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구원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미지
준비중입니다.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진정한 구원은 어디에서 오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Ⅱ. 작품 줄거리

1. 이청준의 「벌레이야기
2. 레이몬드 카버의「사사롭지만 도움이 되는 일」

Ⅲ. 작품 이해하기
1. 작품 제목의 의미
1)「벌레이야기」의 ‘벌레’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사사롭지만 도움이 되는 일」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 작품의 배경 : 시대와 작가

Ⅳ. 작품 분석하기
1. 구원의 정의
2. 구원의 의미
1)「벌레이야기」
2)「사사롭지만 도움이 되는 일」
Ⅳ. 다른 문학작품과 매체에서의 ‘구원’의 방식
1. 인간관계를 통한 구원
1) 영화 [밀양]
2)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2. 종교를 통한 구원
1) 이청준 『낮은 데로 임하소서』

Ⅴ. 맺는 말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우리는「벌레이야기」와「사사롭지만 도움이 되는 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가 생각하는 진정한 구원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벌레이야기」에서 이청준은 광주사태 후 무조건적인 ‘국민 대통합’을 강조하며 일방적인 사과문을 발표한 정부의 만행과 80년대 기독교에서 외형을 부풀리기에만 급급했던 풍토를 비유하면서 알암이 엄마의 구원이 이루어 지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그리고 「사사롭지만 도움이 되는 일」에서 레이몬드 카버는 1980년 경제침체 속에서 점점 사회 개혁의 의지를 잃고 개인주의가 팽배하던 미국 사회의 모습을 우려하여 미니멀리즘 사상을 바탕으로 일상적인 일에서 다시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 두 작가의 생각은 각 작품의 제목 분석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 사실들을 바탕으로 진정한 구원의 의미를 명확히 얻어내기 위해 원 TEXT를 정밀 분석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벌레이야기」의 알암이 엄마의 죽음은 이야기상의 단순한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니체의 무신론 사상과 카뮈의「이방인」에서 나타난 실존주의 사상,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에서 나타난 현실세계에서의 자유와 정의의 실현, 다른 학자들의 의견 등을 비추어 봤을 때 소통되지 못하던 신에게 저항하고 자기 자신으로부터 구원을 얻으려는 반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사사롭지만 도움이 되는 일」에서 앤과 호워드는 알암이 엄마와 달리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슬픔에 잠겨있기 보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다시 일상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자신들을 다독이면서 사사로운 일들을 시도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봤을 때, 우리는 진정한 구원이란 결국 스스로가 자기 자신에 대한 애정을 갖고 절망적인 상황을 이겨내고자 하는 의지가 내면화 되었을 때에 비로소 얻을 수 있는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하고 싶은 말
진정한 구원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청준의 『벌레이야기』와 레이몬드 카버의 「사사롭지만 도움이 되는 일」
에 대하여 조사 했습니다.

ppt 자료 (91장) + 한글 문서 (16장)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