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

 1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1
 2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2
 3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3
 4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4
 5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5
 6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6
 7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7
 8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8
 9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9
 10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10
 11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11
 12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
  • [IMF경제위기] IMF경제위기의 원인, 내용과 IMF경제위기 평가 및 IMF경제위기로 인한 영향을 통해 본 한국경제개혁 및 한국경제의 경쟁력 제고 방안 분석
  • [국제금융론] 97년 외환위기의 정책적 대응방안과 시사점
  • [경영]금융제도의 유형 의의 경제적 기능에 대해서
  • [엔화][엔화의 국제화][엔화의 환율변동과정][엔화의 약세][엔화의 강세][엔화의 최적통화지역]엔화의 국제화, 엔화의 환율변동과정, 엔화의 약세, 엔화의 강세, 엔화의 최적통화지역 분석(엔화,엔화강세,엔화약세)
  • [한국경제의이해 4C형] 한국의 금융 문제에 관해 논하시오
  • [금융제도론]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 -동남아시아 신흥시장의 외환금융위기
  • [IMF] 아시아경제위기(IMF외환위기)의 시작, 한국경제위기(IMF외환위기), 일본과 인도네시아경제위기(IMF외환위기), 멕시코와 말레이시아경제위기(IMF외환위기), 아시아의 경제위기(IMF외환위기) 극복 과정 분석
  • [외환시장, 외환제도, 외환정책] 외환제도(외환정책)의 역사, 외환자유화(외환시장자유화)의 개념, 외환자유화(외환시장자유화)의 필요성, 외환자유화(외환시장자유화)의 보고와 검사, 외환자유화(외환시장자유화)의 추진 방향 분석
  • [물가상승, 인플레이션, 물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개념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원인,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종류 및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영향 그리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억제 방향 분석
  • 소개글
    [국제금융론] 한국의 외환위기의 원인, 경과, 이후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외환위기 이전 거시경제, 환율제도
    A. 거시경제
    B. 환율 제도
    2.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
    A. 외부적 요인
    ① 국제 자본의 급격한 유입
    ② 국제 자본의 급격한 유출
    B. 내부적 요인
    ① 외환 정책의 실패
    ② 금융 감독의 실패
    3. IMF 프로그램을 통한 외환위기의 경과
    A. 긴축정책
    ① 통화 및 환율정책
    ② 재정정책
    ③ 외환보유고 및 외채관리
    B. 구조조정
    ① 금융산업의 구조조정
    ② 일반기업의 구조조정
    C. 무역 및 자본 자유화
    4. 외환위기 이후의 변화
    A. 거시경제 변화
    B. 금융부문
    C. 기업경영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환위기 이전 거시경제, 환율제도

    한국은 1945년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뒤 정치적•사회적•경제적으로 많은 혼란이 있는 가운데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하여 세계 최빈국이 되었다. 하지만 1953년부터 1990년까지 근 40년 가까이 1인당 GNP를 80배가량 증가시키는 엄청난 성장을 이룩하였다. 이러한 성장의 원동력은 흔히‘압축성장’이라 하는 것을 통해 가능했다.
    이러한 압축성장은 대기업과 정부의 정경유착과 관치 금융으로 인한 경직성, 높은 성장률에 대한 지나친 긍정에 따라 대내외 환경 변화적응에 실패하게 되었다. 이에 따른 대기업들의 수익저하에 의해 한국경제에는 암운이 드리우고 있었다. 우리는 외환위기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외환위기 이전에 거시경제와 환율제도에 대해 살펴보겠다.

    A. 거시경제

    외환위기 이전 1990년대 우리나라는 평균 7% 이상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었다. 1980년대의 고도성장 시절에 비하면 다소 떨어지지만 94, 95년에는 8% 이상의 높은 성장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 금리는 각 각 5%, 2%, 12% 대를 유지하는 등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1990년대 거시경제 지표 (단위:%)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실질 GDP 증가율 5.1 5.8 8.6 8.9 7.1 5.5
    소비자물가상승률 6.3 4.8 6.2 4.5 4.9 4.5
    실업률 2.5 2.9 2.5 2.1 2.0 2.6
    콜금리(1일물) 14.3 12.1 12.5 12.6 12.4 13.2

    이렇게 거시경제 지표상으로는 우리나라 경제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지만, 대외부문에서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1989년부터 시작된 경상수지 적자로 인해 정부정책은 자본 유입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정책 변화로 91년 이후 외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외환위기 직전인 96년도에는 총 외채에서 단기 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60%에 달했다.
    참고문헌

    ¢º IMF체제 前後(전후)의 韓國經濟(한국경제) 變化推移(변화추이), 동아대학교 대학원,
    배진석, 1998
    ¢º 세계화와 한국의 IMF 경제위기 극복과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김민혁, 2004
    ¢º ¿ÜȯÀ§±â ÀüÈÄ Çѱ¹°æÁ¦ÀÇ Àü°³°úÁ¤¿¡ °üÇÑ °íÂû, 최은화, 호남대학교, 2001
    ¢º1997년 한국외환위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최경호, 경기대학교, 2005
    ¢ºIMF 한국 프로그램의 전개과정과 적합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강정호, 2001
    ¢ºIMF 체제 3년간의 한국경제 변화, 유용주, 삼성경제연구소, 2000

    - 책

    ¢º홍순영•장재철 외, 한국 경제 20년의 재조명, 삼성경제연구소, 2006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bok.or.kr
    통계청 www.kostat.g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