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

 1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
 2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2
 3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3
 4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4
 5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5
 6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6
 7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7
 8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8
 9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9
 10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0
 11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1
 12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2
 13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3
 14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4
 15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5
 16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6
 17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7
 18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8
 19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19
 20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및 가족치료의 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가족문화의 특성과 가족문제
1. 가족의 개념과 특성
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문화
3. 관계문화
4. 우리나라 가족중심문화의 특성과 가족문제

Ⅱ 우리나라의 집단주의적 가족문화
1. 동양 문화와 가족치료
2. 집단주의 문화와 가치

Ⅲ. 우리나라 가족문화와 가족치료
1. 가족관계의 중요성
2. 의무, 책임, 위계질서, 체면을 존중하는 가족체계
3. ‘우리’, ‘한’, ‘정’을 중요시하는 정서체계

Ⅳ. 우리나라 가족치료의 전략
1.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에 긍정적 의미부여
2. ‘우리’, ‘정’, ‘한’의 기능 이해
3. 가족규칙보다는 가훈 또는 행동규범에 관한 사정 평가
4. 의무, 책임, 체면, 위계질서 존중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은 사회학이나 인류학적 견지에서뿐만 아니라 심리학, 정신분석학, 교육학, 인간관계학, 범죄학, 사회문제, 소년비행 등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가족에 대한 정의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고 있다. 우리나라 민법에서는 동일한 호적 내에 있는 친족, 즉 호주의 배우자, 혈족과 그 배우자, 기타 본 법의 규정에 의하여 그 가(家)에 입적한 자는 가족이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회학자 퇴니에스(Tonnies)는 가족을 공동사회 내의 집단으로 보고, 쿨러(Cooley)는 1차적 집단 내에 가족을 포함하여 대면적 접촉과 ‘우리’감정이 강한 집단으로 보고 있다.
머독(Murdock)은 가족을 공동의 거주, 경제적 협력, 생식이란 특성을 갖는 집단이며 성관계를 허용 받은 최소한의 성인 남녀와 그들에게서 출생하였거나 양자로 된 자녀로 이루어졌다고 정의하고 있다. 머독의 정의는 핵가족을 대표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다분히 서구적 색채를 많이 풍긴다고 보겠다. 프랑스의 인류학자이며 구조주의 방법론자인 레비 스트라우스(Levi-Strauss)는 “가족은 결혼에 의하여 출발하고 부부와 자녀로 구성되고, 다른 근친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은 법적 유대, 경제적, 종교적, 그 외의 다른 권리와 의무, 성적 권리와 규제, 애정, 존경, 외경 등 다종다양한 심리적 정감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정의하고 있는데 이는 확대가족을 중심으로 한 정의이며 가족을 몬든 면에서 긴밀하고 공동 운명체적 관계에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중원.강진상 역(1991). [가족치료]. 서울 : 하나의 학사.
김진숙(1998). “가족치료 이론에서 문화적 차원이 갖는 의미와 주요 쟁점.” [한국가족치료학회지]. 6(2), 131-150.
송정자(1995). “한국문화가 한국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한과 1995. 11. 학술발표자료.
엄예선(1994). [한국 가족치료 개발론]. 서울 : 홍익제.
이기동(1989). “전통윤리강화의 제도적 방안.” [전통윤리의 현대적 조명]. 한국정신문화 연 구원
이재연 • 최영희 공역(1990).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서울 : 형성출판사
유 옥(2012).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이근후.김영화(1992). 증상해결 중심치료. 하나의학사.
이영실(2011). 가족치료. 양서원
이화여대사회사업학과 편(1995). 가족치료총론. 동인.
임은희(2012). 가족치료론. 공동체
한규석(1991). “심리사회학 이론의 문화 특수성 : 한국인의 사회심리학 연구를 위한 고찰.” [한국 심리학회지] 사회. 제 6권 제 1호 (통권10호). 한국심리학회.
Ackerman. N. W.(1956). Interlocking pathology in family relationships. In S Rado & Daniels (Eds.). Changing concepts of Psychoanalytic Medicine. New York : Grune and Stratton.
Kim. U. & Choi. S.(1992). Individualism and child development : A Korean perspective. Unpublished manuscript.
Mcgodrick. M. Pearce. J. & Giordano. J. Eds.(1982).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ew York : Guilford Press.
Minuchin. S.(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Nichols. M. P. & Schwartz. R. C(1998). Family Therapy : Concepts and Methods(4thed). Boston and a London : Allyn & Bacon.
Shon. S. & Ja. D.(1982) Asian Family. In M. McGoldrick J. K. Pearce. & K. Giordano (Eds.)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ew York : Guifor Press.
Triandis. H. C.(1988). Collectivism and development. In D. Sinha & H. S. R, Kao (Eds). Social values and development : Asian perspectives. New Dethi : Sage
하고 싶은 말
A+ 받은 레포트입니다. 과제 및 레포트 작성시 많은 도움되실꺼라 확신합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