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족의 특성

 1  한국가족의 특성-1
 2  한국가족의 특성-2
 3  한국가족의 특성-3
 4  한국가족의 특성-4
 5  한국가족의 특성-5
 6  한국가족의 특성-6
 7  한국가족의 특성-7
 8  한국가족의 특성-8
 9  한국가족의 특성-9
 10  한국가족의 특성-10
 11  한국가족의 특성-11
 12  한국가족의 특성-12
 13  한국가족의 특성-13
 14  한국가족의 특성-14
 15  한국가족의 특성-15
 16  한국가족의 특성-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가족상담및치료)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서 앞으로의 발전 과제에 대해서 서술하시오.(가족상담 및 치료 한국의 가족상담, 특성, 발전과제
  • [가족상담및치료]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서 앞으로의 발전 과제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 가족상담및치료4)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서 앞으로의 발전 과제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 자신의 사례를 포함하여 하나의 가족 사례를 들어 한국 가족의 구조를 기반으로 분석해봅니다
  • 한국가족문화의 특성과 현대가족문제에 대해 설명하시오
  • [2015 가족상담및치료]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서 앞으로의 발전 과제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 한국의 가족상담및치료 발달사, 가족상담및치료 역사
  • [가족관계 3] 가족을 보는 관점들과 가족의 기능을 설명한 뒤, 오늘날 한국 가족의 특성을 가족을 보는 관점과 가족의 기능 측면에서 분석
  • 우리나라가 서구화 되면서 개인의 가치관이나 가족문화 또한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 한국 가족문화가 갖는 독특한 특성이 있으며 가족문제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한국 가족들에게서 보이는 가족문제의 특성을 서술하시오 또한 한국가족 내의 밀착된 가족의 원인이 무엇인지 찾아 서술하고 사례를 제시한 후에 사례에 맞는 치료법을 제시하시오
  • 한국가족의 변화적 특성 및 미혼모 가정의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 과거 한국은 가부장제 가족문화를 형성하였는데 한국가족문화의 특성과 가족문제에 대해 기술하고, 여성을 비하시키는 속담을
  • 소개글
    한국가족의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변화하고 있는 한국의 문화가치

    한국은 전통적이며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의․식․주의 생활에서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전통적인 집단주의 문화가치를 그대로 전수하는 것이 있고, 서양의 개인주의적 문화가치를 수용하는 것이 있고, 한국적인 것과 서양의 것을 혼합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 등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과정에 사람들은 각자의 입장과 관심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현재 한국의 문화가치는 많은 경우 혼돈스럽게 보이기도하고 문화갈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변화하고 있는 문화가치는 개인적이고 내적인 차원에서 혼돈과 갈등의 발생요인이 될 수 있고, 가족관계와 사회적인 관계에서 혼돈과 갈등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s

    송성자(1997). 한국문화와 가족치료: 해결중심치료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32 호. 한국사회복지학회
    송성자 (1997). 한국문화와 가족치료: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적용. 한국 사회복지학.
    통권 제32호. 한국사회복지학회
    송성자 (1995a).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송성자 (1995b). 한국문화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족
    치료학회 세미나 발표자료. 1995. 10. 한국가족치료학회.
    이영분, 양심영 (1999). 가족의 변화에 따른 가족복지서비스의 대응, 한국가족복지 학. 제3호.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최선령(2000). 한국 아내학대자의 학대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학위 논문
    Berg, I. (1994). Family based services: A solution focused approach.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Berg. I. K. and Jaya, Ajakai (1993) Different and same: Family therapy with Asian-American famili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9 (1), 31-38.
    Berg, I. K. & Miller, S. D. (1992). Working with the problem drinker. New York, NY: Norton.
    Berg, I. K. & Jong P. D. (1996). Solution-building conversations: Co-constructing a sense of competence with clients.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mtemporary Human Services. 376-391.
    Choi, B. Y. (1994). Koreans' social character. Seoul, Korea: Neuti Namoo Publishing Company. (in Korean).
    de Shazer, S. (1988). Clues: Investigating solutions in brief therapy. New York: Norton.
    de Shazer, S. (1991). Putting difference to work, New York: Norton.
    Hyun, K. (1995)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Koreans' mental heal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Kim, B. L. (1996). Korean families. In M. McGoldrick, J. Giordano, J. Pearce(Eds.).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Kim, U. (1991). Introduction to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social and applied issue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Hawaii.
    Kim, U. & Choi, S. (1992).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child development: A Korean perspective. Unpublished manuscript.
    King, A. Y. C. & Bond, M. H. (1985). The Confucian paradigm of Man: A sociological view. In W. T. Tseng & D. Wu (Eds.) Chinese Culture and Mental Health. New York: Academic.
    Lee, C. H. (1990). Comparisons of Oriental and Western Approaches to counseling and guida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oul, Korea.
    Lee, E. (1996). Asian American families: An overview. In M. McGoldrick, J. Giordano & J. Pearce (Eds.).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Lee, E. (1996). Chinese families. In M. McGoldrick, J. Giordano & J. Pearce (Eds.).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Lee, K. T. (1983). Koreans' way of thinking. Korean series(1). Seoul, Korea: Sinwon Moonwhasa. ( in Korean).
    Lee, S. W. (1990). Koreans' social relationship and Cheong space. Presented at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Psychocultural Perspectives from East and West, July. Seoul, Korea.
    Maday, B. C. & Szalay, L. B. (1976). Psychological correlates of family socia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n T. Williams (Ed.),
    Psychological anthropology. Hague: Mouton.
    McGoldrick, M., Giordano, J., & Piearce, J. (1996).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M. McGoldrick. (1993). Ethnicity, culture diversity, and normality. In F. Walsh(Eds). Normal family process. New York: Guilford Press.
    Nichols, M. & Schwarts, R. (1995). Family and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MA: Allyn and Bacon.
    Shon, S. & Ja, D. (1982). Asian families. In M. McGoldrick, M. Pearce, & J. Giordano. (Eds.).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Song, S. (1999). Using solution focused therapy with Korean families. In Kit S. Ng (Eds.). Counseling Asian families from a systems perspective.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Sue, Gerald W. & David Sue. (1990). Counseling the culturally different: Theory and practice (2nd ed.). New York: Wiley & Sons.
    Tseng, W. S., & McDermott, J. F. Jr. (1981). Culture, mind and therapy: An introduction to cultural psychiatry. New York: Brunner/Mazel.
    Uba. L. (1994). Asian Americans: personality patterns, identity, and mental health. New York: The Guilford Press.

    하고 싶은 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