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

 1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1
 2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2
 3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3
 4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4
 5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5
 6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6
 7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7
 8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8
 9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9
 10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경어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Ⅰ.경어법의 의미
Ⅱ. 경어법의 체계
1. 주체높임
2. 객체높임
3. 상대높임
4. 높임법의 겹침

나오며
본문내용
들어가며
말은 그 문화를 반영하는 가장 직접적인 매체이다. 즉 국어에서 높임법이 발달한 이유는 우리 문화가 단일 민족의 농경 사회였기 때문이다. 인구의 이동이 적고, 친족이 모여서 집성촌을 이루어 살면서, 다른 사람들과 특히 더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밖에 없는 사회구조를 유지해왔다. 또한 그러한 사회적 관계는 지금도 비슷하게 이어지고 있다. 국어에서 경어법은 신라 시대부터 있어왔지만 이때는 우리의 말을 적을 글자가 부재했기 때문에 우리의 경어법을 확실히 알기는 어려웠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우리의 경어법은 확실히 기록되었고, 그렇기에 본 조는 15세기와 16세기의 중세국어의 경어법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는 틀림없이 세계에서 경어법이 가장 복잡하게 발달한 언어이고 엄격하게 구분되는 언어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경어법은 무척 복잡하게 세분화되어 있다. 아마 경어법이 한국어에서보다 더 세분된 언어는 이 세상에 달리 없을 것이다. 일본어가 거의 비슷한 수준일 뿐이고, 세분된 경어법으로 유명한 자바어(Javanese)도 한국어보다는 훨씬 단순한 수준으로 보인다. 한국어의 경어법은 외국인에게는 말할 것도 없고 한국인 스스로에게도 완벽하게 정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그 용법이 복잡하고 미묘하다. 이제 그 복잡한 세계를 얼마만이라도 찾아 들어가 보기로 한다. 먼저 경어법의 의미를 알고, 경어법의 체계와 시대에 따른 변천과정을 알아보겠다.

Ⅰ. 경어법의 의미
경어법이란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 또는 문장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그들에게 속한 일에 경의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특정의 어형이다. 높임말․공대말․존경어․존칭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선생․밥․먹다․있다>에 대한 경어는 <선생님․진지․잡수시다․계시다>이며 조사는 <께서․께> 등을 쓴다. 용언에 나타나는 경어는 하나의 문법범주를 이루어 활용체계에 관여하기 때문에 <경어법>이라 하며, 경어법은 존대법․높임법․공대법․대우법이라고도 한다. 경어법은 한국어의 한 특질이기도 한데, 넓은 뜻의 경어법은 문법적인 사실로만 국한되지 않는다. 경어가 체언인 경우 대체로 한자어가 채택되고 파생접미사 <님>이 붙는다는 점에서 어휘론적인 사실이기도 하며, 듣는 사람에 대한 정중한 경의표시를 위하여 경어법의 사용과 어휘의 선택 및 배열에 각별한 배려가 주어지는 점에서 문체론적인 사실이라 할 수 있다. 경어 또는 경어법의 사용은 말하는 사람의 경의표시에 의한 것이나, 경의표시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하여는 말하게 되는 장면에 따라, 연령에 따른 세대와 친소관계(親疏關係), 지역의 차이에 따라서
참고문헌
허웅(1975),『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허웅(1989),『16세기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허웅(1992),『15,16세기 우리 옛말본의 역사』, 탑출판사
김종훈(1998),『한국어의 역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종훈(1984),『국어경어법 연구』,집문당
강규선 ‘15세기 국어의 경어법 연구’ 인문과학론 16집, 청주대학인문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