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

 1  [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1
 2  [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2
 3  [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3
 4  [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4
 5  [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5
 6  [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작품론] 이문열 `사람의아들` 작품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우리 현대문학 백년사에 있어서 기독교의 종교 문제를 다룬 소설은 박영준의 「종각」, 김동리의 「사반의 十字架」, 서기원의 「조선백자 마리아상」, 황순원의 「움직이는 城」, 조성기의 〈에덴의 불칼〉 제 2부인「라하트 하헤렙」, 이승우의 「에리직톤의 초상」 등 겨우 손에 꼽힐 정도인데, 「사람의 아들」은 그 중에서도 종교와 인간의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더구나 이문열의 초기 작품으로서 그의 작가적 출발점과 이후 작품 활동의 추이를 짐작할 수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사람의 아들」에 대한 작품 해석은 중요하다고 할만하다.

2.
민요섭은 모범적인 신학생이다. 그런 그가 어느 순간 기독교적 세계관에 대하여 근원적인 회의를 갖는다. 신학교라는 기존의 체계에서 뛰쳐나와 ‘새로운 신’을 찾던 그는 실천 신학, 사회 개혁, 노동 운동, 복음 전도 같은 적극적인 행동이 자신의 신의 율법이라는 확신을 갖기에 이른다. 이러한 민요섭의 회의와 부정을 이해하기 위해 이미 주지하는 종교적(기독교적) 세계관에 대해 생각해 보겠다.
신학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면 종교도 인간 활동이 창조한 일종의 문화이다. 피터 버거(Peter L. Berger)는 모든 인간 사회는 세계를 건설하는 하나의 기획이며, 종교는 이 기획에 있어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임영천, 「한국 현대문학과 기독교」, 태학사, 1995
이문열, 「사람의 아들」, 민음사, 1987(개정판)
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자유문학사, 1992
김욱동, 「이문열」, 민음사, 1994
김윤식․김우종 외 34인 지음,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4(개정증보판)
Peter L. Berger, 「종교와 사회」, 이양구 역, 종로서적,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