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

 1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1
 2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2
 3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3
 4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4
 5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5
 6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6
 7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7
 8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8
 9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9
 10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10
 11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11
 12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12
 13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13
 14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심리학] 스토킹의 과정 및 대처방안과 사례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현재까지의 한국의 스토킹 관련 법안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변인의 정의
4. 연구문제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1. 사례 A
2. 사례 B
3. 사례 C
4. 대처방법
1) 개인적 대처방법
2) 사회적 대처방법

V. 결론 및 논의
1. 요약
2. 논의
1) 시사점
2) 제한점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들어 스토킹에 대한 새로운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는 스토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스토킹에 대한 법률이 구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이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한국여성의전화에 따르면 스토킹 상담은 2009년 86건, 2010년 90건, 2011년 128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또한 한국성폭력상담소는 2012년 동안 1,437건의 상담 중 성폭력 상담이 1,321건에 달한다고 밝히며 분석 결과 스토킹 피해의 심각성이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2월 28일 한국성폭력상담소가 제공한 상담통계 및 상담 동향분석에 따르면 2012년에 접수된 성폭력 사례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스토킹 사건이었다. 스토킹은 피해가 장기간 지속되고,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여 사건이 은폐되는 비율이 높고, 살인과 같은 흉악한 범죄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스토킹을 여전히 ‘경범죄’로서 정의되며 사회적 인식 또한 가볍게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스토킹 피해자들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와 고통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의 피해를 입는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결과 스토킹을 당하는 사람은 꽤 높은 비율이었지만 실제로 신고를 하거나 법적인 조치를 취한 경우는 드물었다. 이는 ‘스토킹’이라는 범죄 자체를 ‘범죄’라고 여기는 것이 아닌 일시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토킹은 조기에 멈추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 수 록 피해는 더 커진다. 때문에 스토킹의 피해를 최소화 할 대처방안을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2. 연구의 목적
스토킹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피해자들이 겪었던 스토킹의 과정에 그에 대처했던 방안을 살펴본다. 그리고 더 능률적인 대처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현재까지의 한국의 스토킹 관련 법안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5월 24일 국회의원 김병태 외 22인이 발의한 ‘스토킹 처벌에 대한 관한 특례법’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되어 심의까지 마쳤으나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한 채 2000년 5월 29일 제 15대 국회임기만료로 자동 폐기되었다. 2003년 10월 13일 국회의원 이강래 외 14인이 ‘스토킹방지법’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참고문헌
● 곽영길, 임유석, 송상욱, 「스토킹의 특징에 관한 연구-미국, 일본, 한국의 스토킹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제7권 제3호, 2011.
● 김은경, 「스토킹 피해실태와 그 쟁점들」, 『형사정책연구』 제14권 제3호, 2003.
● 김정인, 「스토킹과 그 가해자에 관한 소고-유형과 심리-사회적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2008.
● 김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스토킹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EU연구』 제28호, 2010.
● 박미랑, 「대학생들의 스토킹 피해에 있어 성별과 위험한 생활 행태의 영향력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9권 제1호, 2010.
● 박철현, 이상용, 진수명, 「스토킹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 신성원, 「우리나라 대학생의 스토킹 피해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2008.
● 안수진, 「성별화된 폭력으로서의 스토킹 연구-구애형 스토킹 피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 이건호, 「스토킹 행위에 대한 규제와 피해자화 방지전략에 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18권 제3호, 2007.
● 이봉한, 「스토킹 피해자의 인식과 대응실태에 따른 경찰활동방안」, 『한국경찰연구』 제10권 제3호, 2011.
● 정유경, 「스토킹에 대한 성인지적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200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Gross, Linden, 「스토킹, 알고 나면 두렵지 않다」, 박성준 옮김, 문학사상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