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

 1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
 2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2
 3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3
 4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4
 5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5
 6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6
 7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7
 8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8
 9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9
 10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0
 11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1
 12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2
 13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3
 14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4
 15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5
 16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6
 17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7
 18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8
 19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19
 20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학교 1학년 한자 교육 수업지도안-궁궐체험을 통한 한자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프롤로그]

1) 어떤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 생각하는가?

2) 가르침과 배움에 대한 생각

3)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4) 왜 체험학습 테마인가

[2장 ‘아이즈너(Eisner)의 7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한 수업 구상]

① 일반목표와 학습목표 설정

② 내용선택

[3장 수업지도안]

[4장 에필로그]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업을 통해 여러 교육사조들을 살펴본 바, 교육에 있어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 함은 분명한 사실이며 그 목표에 맞는 내용을 선정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가치들이 반영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단지 ‘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만 반영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흔히, 교사들은 ‘배워야 할 가치가 있는 지식’들을 중심으로 수업의 목표와 내용을 설정한다. 그러나 이것들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지 못한다면 그 수업은 그저 ‘소귀에 경 읽기’식이 될 것이다. 즉, 첫째로, 교육(수업)의 목표와 내용은 ‘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임과 동시에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 혹은 유발시킬 수 있는 형태로 조직된 것이어야 한다. 수업의 목표와 내용이 교사 일방에 의해 설정되지 않고, 학습자를 고려하여 상호작용적으로 설정될 때, 그것은 비로소 좋은 수업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된다.
‘소귀에 경 읽기’식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은 오늘날 흔하게 관찰할 수 있는 모습이다. 수업의 목표와 내용이 교사와 학습자의 가치를 모두 반영했다 하더라도,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돕는 제시양식과 학습기회, 반응양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수업으로 보기 어렵다. 즉, 좋은 수업이란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돕는 제시양식과 학습기회, 반응양식이 존재해야한다.
셋째로, 좋은 수업은 목표와 내용이라는 큰 틀과 구조를 가지되, 그 구조에 얽매이기보다는 그 안에서 다양한 수업상황을 유도하고 교사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목표와 내용의 구조에 얽매인 수업은 수업과정에서 교사가 의도했던 수업구조에서 어긋난 수업장면이 등장할 경우, 비록 그것이 나름의 의미를 가지더라도 쉽게 무시해버린다. 동일한 목표와 내용이라 할지라도, 교사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실장면은 다르게 연출될 수 있고, 의도한 방향과는 조금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모로 가도 서울로 가면 된다.’는 말처럼 큰 흐름을 잃지 않되, 새롭게 나타나는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보다 다채로운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야 말로 좋은 수업이 될 수 있다.